본 논문에서는 상트 페테르부르크의 랜드마크인 도개교를 활용한 두 작품-행위를 중심으로 러시아 도시미술의 간략한 역사를 소개하고자 한다. 1990년 도개교를 사용한 <신아카데미즘 전시회>와 2010년 화제를 일으킨 <연방보안국에 포위된 페니스>은 작품은 도시 공간과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작품이다. 또한 두 작품은 랑시에르의 정치적 예술과 “감각적인 것의 나눔”의 개념에 입각하여, 그 시대에 “예술을 예술이라고 규정하는 감각 가능한 체제”에 반기를 들며 당시 제도권 미술 체제에 도전하는 행위로 해석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종종 미술에서 보수적인 미학과 합법성, 그리고 탈정치성을 강조하는 러시아 주류 언론과 대중들의 담론, 그리고 센세이셔널함과 반정부적 함의만 강조하는 러시아 도시미술에 대한 영미권 담론에 반박하여 두 작품을 도시미술의 본질에 초점을 맞추어 재해석하고자 한다. 특히 보이나의 작품은 도개교를 캔버스이자 오브제로 활용했을 뿐 아니라 도시 지리와 역사를 작품에 재치있게 녹여냈으며, 미술과 정치의 경계선을 허물었다는 점, 그리고 향후 도시 미술에 대한 담론을 촉발시켰다는 점에서 러시아 문화사와 도시사에서 학술적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Russian urban art became widely known beyond Russia mostly for its sensational, rough, and anti-government aspects. Although these aspects do characterize many Russian artworks, such discourses neglect and reduce their other values and merits. This paper identifies alternative discourses present in two cases of urban art that utilized the double-leaf bascule bridges across the Neva River in St. Petersburg, Russia: < The Exhibition on Palace Bridge > by Leningrad underground artists in 1990 and < Dick Captured by the FSB > by the radical art group Voina in 2010. The two works exemplify the temporality and site-specificity that define the street art genre and originally distinguished it from other traditional types of art. Even if read as political art, the drawbridge artworks benefit from going beyond anti-government messages and drawing on Rancière’s concept of th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In particular, Voina’s work, despite its notoriety as a wild and rough performance, not only brilliantly engages with the urban environment and history, but also removes a boundary between art and politics. As a result, the two drawbridge artworks are good examples to challenge both the dominant discourses found in English that only focus on sensationalism and anti-Putinism, and the dominant conservative discourses found in Russian that spread through mainstream media that devalue its aesthetic values as an artwork.
UCI(KEPA)
I410-ECN-0102-2022-300-000842289
간행물정보
: 사회과학분야 > 사회학
: KCI등재
:
: 반년간
: 2005-873x
:
: 학술지
: 연속간행물
: 2009-2022
: 190
저작권 안내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