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 Enhances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The Moderating Influence of Men’s Division of Domestic Labour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개인이 겪은 어려옴과 변화들이 가족관계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2020년 9월에 수집된 서베이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코로나19로 인해 경제, 돌봄, 관계 단절 모든 면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은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돌봄공백을 경험한 부부의 23%만이 일가정양립제도를 사용하였으며, 여성의 제도 사용 비율이 남성보다 높았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가족들은 더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게 되었고 이는 가족관계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지만. 남성의 가사분담 여부에 따라 그 영향력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가정양립제도 사용은 긍정적 영향을, 가구소득 감소, 돌봄부담 증가, 본인 가사 증가 등은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재택근무가 활성화될 가능성이 높은 현실에서 사회의 기초단위인 가족이 평안과 안정의 공간이 되기 위해서는 젠더평등이 중요하며, 이를 증진시킬 정책이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Covid-19 on family from a gender perspective, and to analyze how the impact has influenced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family relationship, using the survey data collected in September 2020. First, women tended to experience the hardship caused by Covid-19 more than men in all dimensions including economic, caregiving and social relationship. Second only about 23% of couples who experienced the increased care burden used the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ies, and women were more likely to use the scheme than men. Third, the use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ies proved to be a positive factor for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whereas the increase of care burden and domestic work together with the reduction of household income had a negative influence. While it turned out to be positive to spend more time with family members, the men’s share of domestic work was mediating the effect of the time with family members on the satisfaction. Finally, this study draws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future family policy amid Covid-19 and digital economy which would allow people to spend more time with their family in line with increasing telecommuting or distance learning.
I410-ECN-0102-2022-300-000841813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보건·복지 Issue&Focus |
423권 0호 |
보건복지포럼 |
306권 0호 |
아동가족치료연구 |
20권 0호 |
|
27권 1호 |
|
57권 0호 |
|
8권 1호 |
|
49권 1호 |
|
42권 1호 |
|
69권 1호 |
국제사회보장리뷰 |
20권 0호 |
|
53권 1호 |
|
24권 1호 |
보건·복지 Issue&Focus |
421권 0호 |
보건복지포럼 |
305권 0호 |
이주와 통합 |
16권 0호 |
|
10권 1호 |
보건·복지 Issue&Focus |
420권 0호 |
|
12권 1호 |
|
38권 1호 |
|
37권 4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