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조직 건강성이 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워라벨과 행복감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도권 지역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7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변인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SPSS 23.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조직 건강성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 워라벨, 행복감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워라벨과 행복감의 하위요인들 간의 상관관계, 행복감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하위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한 정(+)의 상관성이 나타났으며 셋째, 행복감과 워라벨의 매개 효과를 분석한 결과, 행복감과 워라벨은 조직 건강성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에 유의한 정(+)의 영향으로 매개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조직 건강성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워라벨과 행복감의 향상을 위한 제도적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daycare centers on teachers’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work-life balance and happines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704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apply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inter-variable relationships.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health,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childcare, work label, and euphoria.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sub-factors of euphoria, euphoria and All of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ub-factors of childcare respect for the right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s of happiness and work -life balance,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happiness and work-life balance was related to infant right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respectful childca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organizational health has a positive effect on respect for the right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that institutional measures are needed to improve work-life balance and feelings of well-being.
UCI(KEPA)
I410-ECN-0102-2022-300-000841651
간행물정보
: 사회과학분야 > 교육
: KCI등재
:
: 계간
: 1229-3083
: 2713-6310
: 학술지
: 연속간행물
: 1995-2022
: 1265
저작권 안내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