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Between Childcare Teachers, Pre-service teachers, and Parents on the Perception of Child Abuse in Childcare Center
10.22155/JFECE.28.4.163.182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본 연구는 어린이집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을 보육교사, 예비 보육교사, 부모를 대상으로 살펴보고자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의 보육교사 159명과 부모 144명, 아동학 관련 학과에 재학 중인 예비 보육교사 146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 예비 보육교사, 부모의 어린이집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의 일반적인 경향 및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부모와 예비 보육교사가 보육교사 보다 어린이집 아동학대를 더 민감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 예비 보육교사, 부모의 어린이집 아동학대 원인 및 예방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연구대상 모두 아동학대 원인의 1, 2순위를 많은 업무와 스트레스가 있는 교사와 교사의 인성 문제로 인식하였다. 어린이집 아동학대 원인 3순위를 보육교사와 부모는 교사와 부모의 관계로 인식하는 반면 예비 보육교사는 영유아 문제로 인식하였다. 어린이집 아동학대 예방에 대해서는 1순위를 공통적으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해소로 인식하였다. 아동학대 예방의 2순위로 예비보육교사와 부모는 교사의 인성교육으로 인식하였으며, 보육교사는 아동학대에 대한 교육으로 인식하였다. 보육교사와 부모는 아동학대 예방방안 3순위를 부모와의 관계 개선으로 인식하였으며 예비보육교사는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의 질을 향상하고 아동을 건강하게 보육하기 위해 어린이집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대상들의 인식의 간극을 줄일 수 있는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child abuse of chidcare center in childcare teachers, pre-service teachers, and parents. The participated for the study were 159 daycare center staff, 144 parents, and 146 pre-service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In order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child abuse in childcare centers of the study subjects, Park Bong-ju (2018) used ’Child Abuse Child Abuse Recognition Questionnaire’ design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s Central Childcare Information Center (2012).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for the general tendency of child abuse awareness among childcare teachers, pre-service teachers, and parents’ and The F-value was calculated by one - way ANOV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awareness of child abuse in childcare center by the subjects. Whe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ost - test was conducted with Scheffe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trends and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child abuse among childcare teachers, pre-service teachers, and parents showed that parents and pre-service teachers more perceived childcare abuse more sensitively than childcare teachers. Second, the perceptions of childcare teachers, pre-service teachers, and parents about the causes of child abuse and prevention showed that the perceptions of childcare teachers, pre-service teachers, and parents were relatively consistent. The First causes of child abuse as a teachers who had many tasks and stresses. The Second causes of child abuse as a personality problem of teachers. The third causes of child abuse is perceiv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parent, while the pre-service teacher perceives it as infant problem. The first way to prevent child abuse at daycare centers was to relieve teacher’s job stress. As a second priority in preventing child abuse, pre-service teachers and parents were recognized as teachers’ personality education, and childcare teachers were recognized as education on child abuse. Childcare teachers and parents recognized the third priority as improvement of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and pre-service teachers were found to recognize the need for education of child abuse by childcare teachers.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educ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 and reduce the gap between the perception of child abuse in childcare centers and the perceptions of targets to improve childcare.
I410-ECN-0102-2022-300-000841646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
73권 0호 |
|
28권 2호 |
|
13권 2호 |
|
23권 1호 |
|
65권 2호 |
|
16권 2호 |
|
22권 4호 |
|
19권 4호 |
|
26권 1호 |
|
64권 0호 |
|
25권 2호 |
|
34권 1호 |
|
23권 2호 |
|
12권 3호 |
인지행동치료상담연구 |
3권 1호 |
|
61권 1호 |
|
77권 0호 |
|
38권 1호 |
|
82권 0호 |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
2022권 1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