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Research Trend in Teaching Profession Culture: Focusing on the Early Childhood Teacher
10.22155/JFECE.28.4.55.75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본 연구는 교직문화와 관련한 국내 연구가 어떠한 동향을 보이는지 시기를 구분하여 연구 대상별, 연구 방법별, 연구 내용별로 살펴보았다. 또한 유아교사의 교직문화 동향을 심층적으로서 분석하여 교직문화의 일반적 동향과의 차이를 이해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국내의 교직문화관련 학위논문과 학술지를 수집하여 총 108개의 연구물을 분석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문화 관련 연구는 점차 증가하다가 현재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며 유아교사 대상의 연구도 유사한 증감 경향을 보인다. 둘째, 교직문화 연구의 대상은 학교 급간별로는 초등교사, 유아교사, 중등교사 및 혼합교사, 고등교사의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담당 학생의 특성별로는 일반 교사의 연구가 특수 교사의 연구보다 많았으며, 유아교사 대상의 연구는 다른 학교 급간에 비해 특수교사에 대한 연구의 비율이 높았다. 셋째,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의 비율이 가장 높고, 양적 연구, 문헌 연구, 혼합연구의 순으로 높았으며, 유아교사의 연구는 최근에 양적 연구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넷째, 연구내용은 특성 분석, 관계, 이론 및 동향, 도구 개발 순으로 높았다. 과거에는 유아교사의 연구에서도 특성 분석의 연구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관계를 살피는 연구가 많아지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교직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 유아교사의 교직문화에 대한 후속 연구에 기초 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trend of domestic research related to teaching profession culture to date by subject,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content according to the period.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from the general trend of teaching profession culture by in-depth analysis of teaching profession culture trend of early childhood teacher. To this end, degree theses and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teaching profession culture in Korea were collected and a total of 108 studies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searches related to teaching profession culture tended to increase gradually but recently decrease, and the number of research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a similar tendency to increase or decrease as that for all teachers. Second, by school level, elementary school teachers, kindergarten teachers, middle school and mixed teachers, and high school teachers were found in the order of research subjects on teaching profession culture. By characteristic of the student, it was shown that the amount of studies on general education teachers are greater than that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study of early childhood teacher, the proportion of researches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is higher than that on other schools. Third,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ratio of qualitative research was the highest, followed by quantitative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But recently in the researches of early childhood teacher, quantitative studies has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s to the researchers. Fourth, as for the contents of the study, the amount of researches were a lot in the order of characteristic analysis, relationship, theory and trend, and tool development. In the research of early childhood teacher, there were many studies on characteristic analysis in the past, but recently, there are more studies examining relationship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understand teaching profession culture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on teaching profession culture.
I410-ECN-0102-2022-300-000841595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
73권 0호 |
|
28권 2호 |
|
13권 2호 |
|
23권 1호 |
|
65권 2호 |
|
16권 2호 |
|
22권 4호 |
|
19권 4호 |
|
26권 1호 |
|
64권 0호 |
|
25권 2호 |
|
34권 1호 |
|
23권 2호 |
|
12권 3호 |
인지행동치료상담연구 |
3권 1호 |
|
61권 1호 |
|
77권 0호 |
|
38권 1호 |
|
82권 0호 |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
2022권 1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