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이승희 ( Lee Seung-hee ) , 서수진 ( Seo Soo-jin )
발행기관 : 한국융합과학회
간행물 :
한국융합과학회지
11권 6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19 (19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체육회와 공공스포츠클럽의 갈등과 조정에 대하여 내용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유목적 선택방법으로 눈덩이 표집법(Snowball Sampling)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공공스포츠클럽 운영 실무자 5명과 지방체육회 실무자 및 결정권자 4명, 체육 정책 전문가 2명, 총 11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하였다. 연구결과 지방체육회와 공공스포츠클럽의 갈등으로 지방체육회 민선회장 체제의 제도변화로 인한 갈등, 지방체육회와 공공스포츠클럽의 위계적 정체성 갈등, 지방체육회와 공공스포츠클럽의 중복사업 및 모호한 역할에 대한 갈등, 지방체육회를 통한 공공스포츠클럽 예산 집행에 대한 갈등, 지자체와 지방체육회, 공공스포츠클럽의 시설자원 한계에 대한 갈등을 보였으며, 이에 대한 조정으로는 첫째, 두 조직의 정체성 형성을 위한 제도적 마련이 필요하고 둘째, 다양한 방법을 통해 시설이나 업무, 예산집행 등 두 조직이 관계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조정 및 협조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의 특성에 맞는 사업을 추진하는 것으로 각 지역의 환경과 여건에 맞게 지방체육회와 공공스포츠클럽의 사업을 유동성 있게 운영해야 된다는 것이다. 결론 본 결과를 바탕으로 지금 현존하는 지방체육회와 공공스포츠클럽이 함께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새롭게 한걸음씩 나아가는 한국형 체육시스템을 만들어 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content on conflicts and adjustments between regional sports associations and public sports clubs. Methods For this purpose, snowball sampling was used as a nomadic selection method for analysis. The research participants, 5 public sports club operation executives, regional sports associations executives and decision makers, 2 sports policy experts, were selected for in-depth interviews. Result As a result of the study, conflicts between regional sports associations and public sports clubs, conflicts due to institutional changes in regional sports associations' civil election system, hierarchical identity conflicts between regional sports associations and public sports clubs, overlapping projects between regional sports associations and public sports clubs, and conflicts over ambiguous roles, conflicts over budget execution of public sports clubs through regional sports associations, and conflicts about facility resource limitations of local governments, regional sports associations, and public sports clubs were showing.As for the adjustment, it was found that, first, institutional arrangements were needed to form the identity of the two organizations, and second, adjustment and cooperation were needed so that the two organizations could form a relationship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facilities, tasks, and budget execution. Third, the business of regional sports associations and public sports clubs should be flexibly operat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and conditions of each region by promoting the busines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should strive to create a Korean-style sports system that advances step by step based on the currently operating sports system.
저자 : 조성흠 ( Cho Seong-heum ) , 김진영 ( Kim Jin-young ) , 박진경 ( Park Jin-kyung )
발행기관 : 한국융합과학회
간행물 :
한국융합과학회지
11권 6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21-44 (24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시니어 운동프로그램 이용특성이 브랜드 자산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시니어 운동프로그램을 통한 브랜드 자산과 만족도의 재고를 위한 전략을 구축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 자료처리는 Window용 IBM SPSS Statistic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인 골드라이프' 운동프로그램 이용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과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을 실시하였고, 브랜드 자산(지각된 품질,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충성도, 브랜드 태도), 만족도(심리적 만족, 사회적 만족, 교육적 만족) 측정도구의 타당도 분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은 내적일관성을 측정하는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요인의 인과관계 검증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조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는 검증 되었으며, 첫째, 시니어 운동프로그램 이용특성이 브랜드 자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시니어 운동 프로그램 이용특성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브랜드 자산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스포츠 센터에서는 일관된 운동 지도방법보다 조금 더 대상을 세분화하여 지도방법에 차이를 둔다면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fundamental data and information on sport center by studying what effects of senior exercise program utilization on brand equity and satisfaction in sport center. Methods The survey was done through 298 copies an analysis. After question investigating the data which is collected used IBM SPSS 23 program, frequency analysis was used in order to acquir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used in order to verify selection attributes in sport center, Cronbach' α,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Result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nior exercise program utilization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barand equity. Second, senior exercisw program utilization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satisfaction. Third, brand equity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satisfaction. Conclusion Through this, I hope that it will be a way to increase the brand value of the sports center according to the senior exercise program.
저자 : 전성범 ( Chun Sung-bum )
발행기관 : 한국융합과학회
간행물 :
한국융합과학회지
11권 6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45-59 (15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연구목적 본 총설은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맥락에서의 모바일 정보통신기술 활용 관련 선행연구에 대한 포괄적인 이론적 배경을 조사하고 그 한계점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문헌연구를 수집하고 체계적인 이론적 배경을 정리 및 분석하였다. 결과 선행연구 분석 결과 세 가지로 분류되는 연구 분야의 문헌들이 조사되어 분석되었다. 세 가지 연구분야는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자연과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그리고 아웃도어 교육 분야 등이었다. 이들 분야는 각자의 특징적인 관점으로 해당 연구 주제를 바라보고 있었으며 이는 분야별로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 선행연구 전반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분석한 결과, 아직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활동에서의 정보통신기술 활용에 관한 연구가 부족함을 알 수 있으며 앞으로 해당 주제와 관련된 연구가 다양한 접근에서 필요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investigate the comprehensive theoretical background of prior research related to the use of mobil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the context of outdoor recreation and to suggest its limitations. Methods The systematic theoretical background was organize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literatures regarding outdoor recre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topics. Result The three bodies of literature from three different research fields were categorized. The three fields were HCI (Human Computer Interaction), Wilderness and outdoor recreation, and Outdoor education. Each fields posits its own perspective that is different from the others. Conclus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previous studies,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on the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use in outdoor recreation activities, Further various studies related to the subject are needed in the future.
저자 : 박현도 ( Park Hyun-do ) , 신승균 ( Shin Seung-gyoon )
발행기관 : 한국융합과학회
간행물 :
한국융합과학회지
11권 6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61-70 (10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연구목적 빠르게 진행되는 고령화 사회에서 홀로 사망하는 노인의 수만큼 홀로 사는 다른 연령층의 사망자 수도 적지 않다. 연구방법 「고독사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 있으나 고독사에 대한 기준이 모호하여 통계자료를 모으기 위해서는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부산지역에서 발생한 변사사건 중 1인 가구인 경우를 조사하여 거주지에서 1개월 이상 일반적인 65세 이상이 아닌 전 연령대로 자살이 아닌 질병으로 사망하는 경우를 고독사 기준으로 제언하였다. 결과 홀로 사망하였으나 발견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1인 가구의 사회적 단절을 예방하기 위해 이웃과 공동체 생활을 활성화하거나 지역별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반찬봉사, 신문이나 지역생활정보지 및 우유 배달 등 주민단체의 지속적인 관심과 생활실태를 확인한다. 결론 홀로 생활하는 자와 비상연락체계를 유지하다가 위급상황에서 의료기관, 소방 및 경찰과 상호협력체제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제도를 만든다면 최소환 일주일이 지나 발견되는 경우는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In a rapidly aging society, the number of deaths in other age groups living alone is as high as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who die alone. Methods There is the「Act on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Lonely Death」, but it is difficult to collect statistical data because the criteria for lonely death are vague. Therefore, the ca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among the fatal deaths in Busan was investigated, and cases of deaths from diseases other than suicide were suggested as the criteria for deaths from diseases other than suicide for more than a month at the place of residence and all age groups, not the general age of 65 or older. Result In order not to take a long time to be discovered even though he died alone, in order to prevent social isola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live in a community with neighbors, or local medical welfare social cooperatives, side dish service, newspapers, local life information magazines, and milk delivery, etc. Conclusion If you maintain an emergency contact system with people living alone while checking the group's continuous interest and living conditions, and create a system that allows mutual cooperation with medical institutions, firefighting and police in an emergency situation, if it is discovered after at least a week I don't think there will be.
저자 : 박주영 ( Park Joo-young ) , 김미연 ( Kim Mi-yeon ) , 오치옥 ( Oh Chi-ok )
발행기관 : 한국융합과학회
간행물 :
한국융합과학회지
11권 6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71-93 (23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연구목적 이 연구는 국가승인통계의 원자료(RAW DATA)를 활용하여 코로나19 발생 전·후 여가활동의 변화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나아가 사람들의 여가 정책 중요도 인식에 기반하여, 향후 일과 삶의 균형, 여가의 복원과 같이 일상생활을 회복하고 안정적인 여가활동참여를 위한 정책수립에 기여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 이 연구에서는 세 가지의 다른 통계자료를 2차자료로 사용하였고,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독립T-test를 실시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도출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행사의 참여율이 전반적으로 감소된 반면, 매체를 활용한 평균 관람 횟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주 이용하는 체육시설로 공공주택단지 체육시설이 포함된 기타체육시설과 자가시설 응답비율이 높아졌으며, 이용하지 않는다는 응답 비중도 상승하였다. 셋째, 여가 정책의 중요도에 대해서는 여가시설의 다양성, 여가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동호회 육성 및 지원, 소외계층 여가생활 지원, 공휴일과 휴가를 법적으로 보상의 인식 등이 전반적으로 상승되었다. 결론 2년 이상의 기간 동안 여가활동의 제약은 사람들의 여가 생활에 많은 변화를 주었고, 이에 따른 여가 정책에 관한 관심도도 크게 상승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변화를 지속적으로 고찰하여 뉴 노멀 시대 여가활동에 국민들의 삶과 질 향상에 기여 할 수 있는 정부의 적극적인 여가 정책이 필요하며, 이 연구가 향후 여가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intends to empirically analyze changes in leisure activities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using different government-approved statistics. Furthermore, it aims to contribute to policy establishments for continual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pandemic era based on individual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leisure policies. Methods Three different statistical data sets were employed as secondary data. Data analysis with frequency analysis, cross tabulation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s t-test were conducted using SPSS 23.0. Result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overall participation rate of art & culture events decreased, the average number of views using media had increased. Second, the participation rate of private and other sport facilities as physical activity facilities frequently used had increased, and the participation rate of those who did not use any facilities also increased. Third, the importance of the leisure policies including the diversity of leisure facilities,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leisure programs, the fostering and support of social clubs, the support of leisure life for the underprivileged, and the perception of legal compensation for holidays and vacations had increased. Conclusion Over the COVID-19 period lasting more than 2 years, individuals' leisure life has considerably changed derived from restrictions on activities and their interest in leisure policies subsequently increased. The government's proactive leisure policies are required to improve individuals' life and quality of leisure activities in the new normal era. Finally, our study implications can be used for the establishments of leisure policies.
저자 : 배주용 ( Bae Ju-yong ) , 이율효 ( Lee Yul-hyo ) , 고강은 ( Ko Kang-eun )
발행기관 : 한국융합과학회
간행물 :
한국융합과학회지
11권 6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95-108 (14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연구목적 NAFLD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는 중년 또는 노년 등의 성인에게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일시적인 고지방 식이섭취로 인한 부정적인 효과는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또한 NAFLD를 완화하기 위한 효과적인 운동 강도 역시 연령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 쥐의 일시적인 고지방 식이 섭취로 인한 간 지방증의 변화를 살펴보고, 유산소 운동 강도가 NAFLD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4주령의 수컷 C57BL/6 쥐를 분양받아, 일반식이 섭취군(CO, n = 8)과 고지방식이 섭취군 (HF, n = 24)으로 분류하였다. HF군은 8주간의 고지방 식이를 섭취하였으며, 그 후, HF군의 쥐들은 무작위로 HF+비운동군(HF, n = 8), HF+저강도 유산소운동군(HFLE, n = 8), 그리고 HF+고강도 유산소운동군(HFHE, n = 8)으로 분류하였다. 운동군의 쥐들은 자신의 운동 강도로 8주간 주 5회의 유산소 운동을 실시하였다. 결과 고지방식이 8주 후 HF 그룹의 체중, 간 무게, 간 TG 및 간 지방 방울이 유의하게 증가했다. 그러나 규칙적인 운동은 지방합성 관련인자를 유의하게 증가시켰지만, carnitine palmitoyl transferase-1과 phospho AMP-activated protein kinase 단백질을 증가시킴으로써, 지방간 완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강도 운동은 저강도 운동에 비해 간 TG 및 지방 방울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고강도 유산소 운동은 저강도 운동보다 간의 무게와 간 TG를 현저하게 감소시킴으로써 NAFLD 완화에 더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아동기에 NAFLD 를 완화시키는 효과적인 운동으로 고강도 운동을 권장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Purpose Most studies o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focused on the subject in middle-aged or elderly adults. However, the negative effects of temporary high-fat diet may differ according to age, and the effective intensity of exercise for alleviation of NAFLD may also differ according to 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in hepatic steatosis caused by temporary high-fat diet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aerobic exercise intensity on NAFLD in young-aged mice. Methods 4 weeks old male C57BL/6 mice were classified into a normal diet group (CO, n = 8) or a high-fat diet group (HF, n = 24). HF group consumed a high-fat diet for 8 weeks. After then, HF group was randomly assigned to the HF+non-exercise group (HF, n = 8), HF+low-intensity aerobic exercise group (HFLE, n = 8), and HF+high-intensity aerobic exercise group (HFHE, n = 8). The mice in the exercise group conducted aerobic exercise 5 times a week for 8 weeks at their exercise intensity. Results After 8 weeks of high-fat diet, body weight, liver weight, liver TG, and liver lipid droplets in the HF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However, although fat synthesis-related factors were still high, regular exercise was effective in relieving fatty liver by increasing carnitine palmitoyl transferase-1 and phospho AMP-activated protein kinase proteins. In addition, high-intensity aerobic exercise effectively reduced liver TG and lipid droplets compared to low-intensity aerobic exercise. Conclusion High-intensity aerobic exercise was more effective in alleviating NAFLD than low-intensity exercise by decreasing the liver weight and liver TG. Therefore, high-intensity exercise can be recommended as an effective exercise for alleviating NAFLD in childhood.
저자 : 장선미 ( Jang Seon-mi ) , 현혜순 ( Hyun Hye-sun )
발행기관 : 한국융합과학회
간행물 :
한국융합과학회지
11권 6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09-122 (14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연구목적 연구의 목적은 국내 간호학과의 간호정보학 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간호정보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강의 내용이 구성되었는지 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 이 연구 대상은 2021년 11월 1일 현재 간호학 학사학위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한국간호교육평가원의 인증을 받은 203개 간호학과의 교육과정 관련 자료이다. 203개 학교 중 수집된 총 190개 학교의 교육과정 관련 자료를 분석 대상에 포함하였다. 교육 내용 분석을 위하여 강의계획서를 편의표집에 의해 수집하였고 총 12개의 강의 계획서를 내용 분석에 포함하였다. 결과 총 108개(56.8%) 간호학과에서 111개의 간호정보학 관련 교과목을 운영하고 있었다. 운영형태는 전공교과(93.7%), 선택교과(76.6%), 이론교과(94.6%)로 대부분 운영되고 있었다. 학년 편성은 2학년 (32.4%)과 4학년(29.7%)이 많았으며, 학점은 2학점이 70.3% 로 가장 많았다. 강의내용은 '간호 수행에서 ICT 사용'(100%)과 '간호정보학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와 인식'(91.7%) 을 가장 많이 다루었다. 결론 간호정보학 교육은 지난 20년 동안 발전해 왔으나 현재의 간호정보학 교과목 운영은 간호정보역량을 향상시키기에는 부족하므로 양적 및 질적 측면에서의 발전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간호정보학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련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노력이 더욱 요구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nursing informatics education and the teaching content in nursing informatics courses in Korean nursing baccalaureate programs. Methods The nursing curricula of 190 colleges out of 203 accredited nursing colleg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12 syllabuses were collected and the lecture topics were analyzed using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categories. Result 108 (56.8%) of the nursing colleges offered 111 nursing informatics courses. The courses were offered as elective (76.6%) as well as major (93.7%) courses. Most courses were offered as theoretical delivery classes (94.6%). The courses were offered mainly for sophomore (32.4%) and senior students (29.7%) and most of them (70.3%) were two-credit courses. The use of ICT in nursing care was the most frequently taught subject (100.0%), followed by active attitude and recognition (91.7%). Conclusion Although nursing informatics education has developed over the past 20 years, nursing informatics education still needs further development,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number of schools offering nursing informatics courses is insufficient to increase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nursing informatics education and to focus more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저자 : 김진희 ( Kim Jin-hee )
발행기관 : 한국융합과학회
간행물 :
한국융합과학회지
11권 6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23-138 (16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신중년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을 탐구한 셀프연구 이다. 이를 위해 나는 연구자이자 참여자로서 6개월간 한 개인이 경험한 생애전환 문화예술교육의 현상, 참여과정, 관계 및 맥락을 '나'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연구방법 연구 기간은 2021년 7월부터 12월까지 약 6개월간 이루어졌다. 자료 수집은 연구자가 작성한 일지, 활동 계획서, 활동보고서, 사진, 문서, 대화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내용분석과 범주분석을 하여 이야기로 구성하였다. 결과 첫째, 신중년 전환학습에 반 발 내딛은 나의 경험을 시간적 과정에 따라 지원 시기, 예비학교 참가에 대한 이야기이다. 둘째, 나의 생애전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한 전환적 경험에 대한 당사자 이야기이다. 계획과 실행의 큰 차이로 인한 충격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기 명상, 침묵하며 말하기를 통해 다른 사람과 소통하며 신중년의 자기 발견의 내용을 마음열기, 연결하기로 해석하였다. 결론 생애전환 문화예술교육은 만남을 이어가는 교육일 때 가치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문화예술 향유 프로그램으로 접근하려는 것에서 벗어나야 한다. 신중년은 자신의 삶을 자동사로 전환하고자 할 때 가능하다.
Purpose This paper is a self-research that explores the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cultural arts education programs for middle aged. I described the phenomenon, participation process, relationship, and context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experienced by an individual as a researcher and participant for six months, focusing on 'I'. The study period was about 6 months 2021. Methods Data collection were collected journal, activity plan, activity report, photo, document, and conversation data and data analysis consisted of a story through content and category analysis. Result First, the story of the application period and participation in the orientation according to process of my experience of taking steps against transition learning in middle age. Second, it is the story of the person concerned about the transitional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my life changing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escape the shock caused by the big difference between planning and operation, I interpreted the contents of the self-discovery of open up and connect with others by communicating with others through self-meditation and speaking in silence. Finally, life transiti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valuable when it is an education that continues to meet. Conclusion A new middle age is possible when I want to turn my life into an automatism.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