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이경혜 ( Lee¸ Kyung-hye )
발행기관 : 한국아동교육학회
간행물 :
아동교육
30권 3호
발행 연도 : 2021
페이지 : pp. 5-19 (15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매체과의존(MD)은 세계시민성역량(GCC) 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와, 대인관계역량(ISC) 및 아버지지원(FS)은 이러한 매체과의존 및 세계시민성역량 형성과 어떠한 구조적관계를 가지는가를 규명하는데 있다. 아울러 이러한 변인들은 어떤 영향력을 가지며 중재변인의 작용은 세계시민성역량 수준을 중재할 수 있는가에 대한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가수준의 데이터인 한국아동청소년정책연구원의 NYPI 횡단조사(NYPI Cross Sectional Survey)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전국에 분포되어 있는 16개 지역에 거주하는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초등학생 3,627명; 중학생 3,406명; 고등학생 2788명). 그리고 청소년의 매체과의존, 대인관계역량, 아버지지원, 세계시민성역량을 측정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결과 첫째, 매체과의존 수준은 세계시민성역량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매체과의존은 대인관계역량 및 아버지지원을 통하여 세계시민성역량 형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중·고등학생 집단의 경우, 대인관계역량이 세계시민성역량 수준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며, 다음으로는 아버지지원이 세계시민성역량 수준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자 : 이지영 ( Lee¸ Ji-young ) , 이지원 ( Lee¸ Ji-won )
발행기관 : 한국아동교육학회
간행물 :
아동교육
30권 3호
발행 연도 : 2021
페이지 : pp. 21-41 (21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 둘을 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자녀와의 가정놀이에서 드러나는 그들의 양육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자녀출생순위별로 구체화하여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기의 두 자녀를 둔 총 7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하였고 그것을 통해 도출된 주제들과 체험내용들을 van Manen이 제안한 4개 범주로 구분하였다. 그에 따라 독자(only child)와의 가정놀이에서는 '경험하지 않은 것의 불안(체험적 시간)', '전통적 양육관에 의한 마음 다스림(체험적 신체)', '자녀 중심의 놀이(체험적 공간)', '처음으로의 사랑과 기대(체험적 타자)' 등으로 확인되었다. 맏이(firstborn)에서는 '경험에 의한 불안·경험하지 않은 것의 불안(체험적 시간)', '놀이신념의 흔들림(체험적 신체)', '엄마 중심의 놀이(체험적 공간)', '사랑과 높은 기대의 갈등(체험적 타자)' 등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둘째(second child)의 경우에는 '경험에 의한 낮은 불안(체험적 시간)', '전통적 양육관에서 벗어나지 못함(체험적 신체)', '엄마와 자녀가 만족하는 놀이(체험적 공간)', '사랑표현의 편애와 여유(체험적 타자)' 등의 체험내용들로 확인되었다. 이렇게 어머니들의 '실존체 체험'이 자녀와의 가정놀이에서 자녀의 출생순위에 따라 상이하게 드러난 이유는 출생순위에 따른 어머니들의 양육과정에서 불안감이 자녀와의 놀이체험 중에 감소, 해소, 유지, 또는 확대되는 등의 심리적 안녕감(psychological wellbeing)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때문에 독자의 양육경험이 맏이와 둘째에 대한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맏이의 양육경험은 둘째에 대한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사실은 양육경험을 본질적인 측면에서 이해할 때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확보를 위해 자녀양육의 문제를 어머니 개인적 범주에서 사회적 범주로 확대하여 그 방향성을 제시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저자 : 임경미 ( Lim¸ Kyeong-mi ) , 김지영 ( Kim¸ Ji-young ) , 박병기 ( Bak¸ Byung-gee )
발행기관 : 한국아동교육학회
간행물 :
아동교육
30권 3호
발행 연도 : 2021
페이지 : pp. 43-62 (20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연구는 근거이론 방법론을 적용하여 교직생활에서 경험하는 초등교사의 갈등극복 과정의 실체 이론을 개발하기 위해 시행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J도와 K도에 소재한 초등학교에서 선정하였으며, 연구의 취지와 목적에 대한 설명을 듣고 참여에 동의한 20명이었다. 자료가 이론적 포화상태에 이를 때까지 수집하여 Strauss와 Corbin(2008)의 분석방법에 의해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과정으로 진행되었고 순환적으로 반복되는 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 결과 139개의 개념, 43개의 하위 범주, 1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초등교사의 갈등극복 과정을 설명하는 핵심 범주는 '상처를 추스르고 전문가 교사로 성장하기'였다. 이러한 '상처를 추스르고 전문가 교사로 성장하기'의 과정은 '혼돈단계', '성찰단계', '조정단계'라는 단계로 설명되었다. 갈등극복 유형은 감정해소형, 수용형, 문제해결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초등교사의 갈등극복 과정은 교사로서 부족함을 느끼고 부당한 대우를 받으며 불합리한 학교문화와 부딪히면서 받은 상처에서 벗어나기 위해 마음을 추스르고 다양한 전략들을 통하여 자기-관계-학교문화를 조정하여 전문가 교사로 성장해 나가는 과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갈등을 심각하게 경험했던 초등교사의 갈등극복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기초로 갈등을 극복하고 갈등에서 회복할 수 있도록 이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한 것에 의의가 있다.
저자 : 김유선 ( Kim¸ You-sun ) , 한천우 ( Han¸ Cheon-woo )
발행기관 : 한국아동교육학회
간행물 :
아동교육
30권 3호
발행 연도 : 2021
페이지 : pp. 63-87 (25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그릿과 성취목표, 도움요청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성취 목표의 매개 효과에 대해 검증하고자 실시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D광역시 소재 K대학 4년제 대학생 26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유효한 251명의 설문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와 Mplus 8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릿과 성취목표, 도움요청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그릿은 도움회피만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성취목표 중 숙달목표는 대학생의 도움요청 행동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으며, 이 중 도구적 도움만을 긍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숙달목표만이 그릿과 도움요청행동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또는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그릿과 도움요청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대학생의 도움요청행동을 끌어낼 수 있는 변인으로 그릿의 역할과 숙달목표의 중요성을 시사해 주는 데에 의의를 가진다.
저자 : 김종미 ( Kim¸ Jong-mi ) , 부성숙 ( Pu¸ Sung-sook )
발행기관 : 한국아동교육학회
간행물 :
아동교육
30권 3호
발행 연도 : 2021
페이지 : pp. 89-107 (19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이 보육교사의 직무수행 효능감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에 재직하고 있는 보육교사 26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이 높을수록 보육교사의 직무수행 효능감과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원장 직무역량의 중요성을 입증하였다. 둘째,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은 보육교사 직무수행 효능감의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역량의 하위요인 중 원장의 문제해결 능력, 위생 및 안전관리 순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은 보육교사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역량의 하위요인 중 원장의 문제해결 능력, 비전 및 목표관리 순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보다는 직무수행 효능감에 더 큰 영향력을 미치고, 직무역량의 하위요인 중 원장의 문제해결 능력, 위생 및 안전관리, 비전 및 목표관리 역량이 보육교사의 직무수행 효능감 및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 향상을 위한 개인적,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저자 : 유계환 ( Yoo¸ Kae-hwan ) , 최희정 ( Choi¸ Hee-joung )
발행기관 : 한국아동교육학회
간행물 :
아동교육
30권 3호
발행 연도 : 2021
페이지 : pp. 109-129 (21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대를 살아가는 아동들이 비대면 수업으로 인하여 학업에 대한 열의가 떨어지는 상황에서 가정에서의 부모의 양육태도가 학업열의에 어떻게 작용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특히 비대면 수업으로 인하여 아동들이 스마트기기를 더욱 많이 사용하게 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스마트폰 의존에 빠져들게 된다. 이때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업열의 사이에서 스마트폰 의존의 매개효과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KYCPS 2018)의 초등학교 4학년 1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들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부모의 강요는 학업열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스마트폰 의존에 영향을 주어, 학업열의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자율성을 지지하는 부모의 양육태도는 학업열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스마트폰 의존에 영향을 주어, 학업열의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스마트폰 의존이 학업열의에 영향을 줌에 있어서 강요적인 양육태도에 있어서는 완전매개를, 자율성지지에 있어서는 부분매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자율성을 인정하는 자율성지지와 자율성을 인정하지 않는 강요 부모가 초등학교 고학년이 시작되는 시기인 4학년 시기 자녀에 대한 양육태도의 형태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통제력을 길러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학업열의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부모의 양육태도에 있어서 스마트폰에 의존하는 태도와 학업열의에 미치는 태도를 확인함으로써,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를 맞이하는 자녀에게 어떠한 양육태도를 가져야하는지에 대하여 확인하였으며, 이를 부모교육에 있어서 적절하게 적용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저자 : 이시은 ( Lee¸ Shi-eun ) , 박병기 ( Bak¸ Byung-gee )
발행기관 : 한국아동교육학회
간행물 :
아동교육
30권 3호
발행 연도 : 2021
페이지 : pp. 131-156 (26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이 현재 가지고 있는 상상 능력 및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상상력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다. 연구 문제는 첫째, 상상력 척도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이고, 둘째, 상상력 척도는 타당한가이다. 상상력 척도는 상상의 3차원 구조(이시은, 정영주, 박병기, 2014)에 기반하여 상상력의 구성 요인으로 자원, 조작 및 결과 3개 요인을 추출하였다. 상상력의 자원은 지각체, 맥락, 긍정정서, 부정정서, 의미, 조작은 분해, 변형, 먼 과거, 가까운 과거, 가까운 미래, 먼 미래, 연상, 인과, 결과는 통합성, 일관성, 신기성, 구체성, 실현가능성의 총 18개 하위요인을 포함하며, 총 74개 문항이다. 연구 대상은 예비검사에 참여한 초등학생 49명, 본검사에 참여한 초등학생 235명이다. 분석 도구는 SPSS 21.0과 MPlus 8.4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상상력 척도는 일차원성을 가지고 신뢰할 수 있으며 타당하였다. 이것은 학생들의 상상력을 가늠할 수 있는 척도로서 상상교육의 목표, 내용 및 방법을 제안하는 것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저자 : 최경숙 ( Choi¸ Kyeung-sook ) , 정현희 ( Chung¸ Hyun-hee )
발행기관 : 한국아동교육학회
간행물 :
아동교육
30권 3호
발행 연도 : 2021
페이지 : pp. 157-177 (21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연구는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D 광역시에 소재한 J 초등학교 특수학급 학생 5명이다. 연구를 위해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baseline across participants)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기초선, 중재, 유지, 일반화 단계로 7주간 총 28회기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매회기마다 대상학생들의 사회적 행동 발생 빈도를 부분간격기록법(partial interval recording)으로 측정하여 행동관찰기록표에 기록하였다. 중재 단계에서는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을 특수학급에서 주 2~4회 40분씩 10회기를 실시하였으며 유지 단계에서는 프로그램 종료 2주 후 3회기에 걸쳐 행동발생률을 측정하였다. 일반화 단계에서는 통합학급에서 쉬는 시간 10분 동안 대상학생들의 행동 발생률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 습득과 유지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일반화에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진 시키기 위해서는 특수학급과 통합학급에서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연계하여 중재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저자 : 하정혜 ( Ha¸ Jeong-hye ) , 한천우 ( Han¸ Cheon-woo )
발행기관 : 한국아동교육학회
간행물 :
아동교육
30권 3호
발행 연도 : 2021
페이지 : pp. 179-193 (15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고정신념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소재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 2, 3학년 512명을 대상으로 2020년 6월 3일부터 6월 12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19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Mplus 8.2와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사전기초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방법을 통하여 검증되었다. 측정모형은 모형수정을 통하여 양호한 수준의 적합도를 보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구조방정식 모형은 좋은 수준의 적합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고정신념, 자아존중감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고정신념은 각각 정적, 부적으로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을 예측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고정신념은 지각된 부모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함이 확인되었다.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을 증진 시키기 위하여 부모와의 관계뿐만 아니라 개인의 내적 신념이 중요하게 작용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질 수 있는 이론적 및 실천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저자 : 홍종원 ( Hong¸ Jong-won )
발행기관 : 한국아동교육학회
간행물 :
아동교육
30권 3호
발행 연도 : 2021
페이지 : pp. 195-217 (23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연구는 유아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귀인 및 교사효능감이 유아 교사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과 경력별 교사집단별로 어떠한 영향력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유아 교사 30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변인별 통계치 산출, 단계적 방식의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유아 교사 역할수행 전체에 미치는 영향력 결과에서 직무 스트레스의 행정적 지원 부족은 부정적 영향력, 개인적 교수 효능감은 긍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 교사 역할수행 하위변인별로 미치는 영향력 결과에서 직무 스트레스의 행정적 지원 부족과 대인관계 변인은 부정적 영향력을, 내적 귀인과 개인적 교사효능감 변인만이 긍정적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력별 유아 교사집단에 미치는 영향력의 구조적 관계는 저 경력 교사집단은 개인적 교수 효능감만이 고경력 교사집단에서는 내적 귀인과 개인적 교수 효능감이 긍정적 영향력을, 그리고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부정적인 영향력이 나타났다. 두 집단은 공통으로 개인적 교수 효능감이 교사역할 수행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