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한수빈 ( Soobin Han ) , 이지현 ( Jihyun Lee ) , 고서연 ( Seoyeon Go )
발행기관 : 한국정보처리학회
간행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11권 7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273-282 (10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구성가능한 소프트웨어 제품라인 시험은 모든 멤버제품들에 포함되는 공통 부분과 일부 또는 단일 제품에 포함되는 가변 부분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단일 제품 시험 방법들을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다. 소프트웨어 시스템 시험에서 시험 커버리지는 수행된 시험의 적절성을 측정하는 척도이다. 구성가능한 소프트웨어 제품라인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는 멤버제품들은 수백 개에 이를 수 있기 때문에 시험 커버리지 측정은 소프트웨어 제품라인 수준에서 시험의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해 중요하다. 이 논문은 구성가능한 소프트웨어 제품라인 시험에서 제품라인 수준의 코드 커버리지 측정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피처 집합의 포함 관계를 기준으로 제품들을 계층화한 후 제품라인의 멤버제품들을 시험하고, 시험으로부터 얻어진 각 제품의 시험 커버리지들을 종합하여 SPL 시험 커버리지를 정량화한다. 제안한 방법을 11개의 구성가능한 소프트웨어 제품라인 사례에 적용하여 검증한 결과, 제안한 방법은 SPL 시험이 얼마나 철저하게 수행되었는지를 정량적으로 기술하여 SPL 시험의 적정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왔다. 또한, 새로 추가된 SPL 멤버제품의 시험이 이전 멤버제품 시험 대비 커버리지를 증가시키는 방향인지 확인할 수 있어 새로운 시험케이스들이 멤버제품들 간의 차이를 커버하는 방향으로 시험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Testing approaches for configurable software product lines differs significantly from a single software testing, as it requires consideration of common parts used by all member products of a product line and variable parts shared by some or a single product. Test coverage is a measure of the adequacy of testing performed. Test coverage measurements are important to evaluate the adequacy of testing at the software product line level, as there can be hundreds of member products produced from configurable software product lines.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for measuring code coverage at the product line level in configurable software product lines. The proposed method tests the member products of a product line after hierarchizing member products based on the inclusion relationship of the selected features, and quantifies SPL(Software Product Line) test coverage by synthesizing the test coverage of each product. As a result of applying the proposed method to 11 configurable software product line cases, we confirmed that the proposed method could quantitatively visualize how thoroughly the SPL testing was performed to help verify the adequacy of the SPL testing. In addition, we could check whether the newly performed testing for a member product covers the newly added code parts of a feature.
저자 : 이주영 ( Ju-young Lee ) , 김현아 ( Hyun-a Kim ) , 성채민 ( Chae-min Sung ) , 김정민 ( Joung-min Kim ) , 김성욱 ( Sungwook Kim )
발행기관 : 한국정보처리학회
간행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11권 7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283-290 (8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블록체인 기술은 거래를 투명하게 관리함으로써 중앙통제 없이 신뢰 가능한 P2P 거래를 가능하게 한다. 최근에는 금전적 가치를 지닌 선하증권(Bill of Lading, B/L서류)의 무결성을 확보하기 위해 블록체인을 적용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성 개선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선하증권 시스템을 제안한다. 수출자는 선사로부터 발급 받은 선하증권을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은행에서 이를 조회하여 신용장 거래를 수행한다. 수입자는 선하증권 서류의 지문이 담긴 QR코드(Quick Response code)로 신원증명을 완료한 뒤 화물을 인도 받게 된다. 수출자는 우편으로 보낼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고, 물품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수입자의 경우 선적 서류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되자 마자 서류를 열람할 수 있고, 신뢰를 바탕으로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뿐만 아니라 은행에서는 선적서류에 대한 검증을 더욱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Blockchain is a technology that secures integrity and transparency by distributing and storing transaction details within multiple node networks. Recently,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secure integrity by applying blockchain to Bill of Lading (B/L documents) of monetary value. In this paper, we study a blockchain-based bill of lading system to improve usability. The shippers register the issued bill of lading on the blockchain, and banks in each country read it to conduct L/C transactions. The consignees receive the goods after completing certification with a quick response code (QR) containing the bill of lading information. Through this, shippers enjoy merits in that they can shorten the time and cost of sending shipping documents by mail and prove the integrity of the documents. The consignee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heck the documents at the same time as they are registered and trust the transaction. Finally, on the bank side, the security of shipping documents is ensured and verification can be done quickly.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논문은 한국어에 대해서 구묶음을 수행한 후에 의존구조를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의존구조 분석은 단어의 지배어를 결정하는 과정이다. 지배어를 정할 때, 문법적인 지배어를 정할 것인지 의미적인 지배어를 정할 것인지가 고질적인 문제이다. 일반적으로는 문법적인 지배어를 정하고 있다. 예를 들면 문장 “밥을 먹고 싶다”에서 어절 “먹고”의 지배어로 “싶다”를 정한다. 그러나 “싶다”는 보조용언으로 의미적으로 지배어가 될 수 없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구문을 분석하면 의미분석을 위해서 또 다른 변환이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문제를 다소 완화하기 위해서 구묶음을 수행한 후에 구문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구묶음은 문장을 구성성분 단위로 분할하는 과정이며 구성성분은 내용어 말덩이와 기능어 말덩이로 구성된다. 구묶음을 수행하면 구문 분석의 입력이 되는 문장 성분의 수가 줄어들므로 구문 분석 속도가 개선될 수 있으며, 문장에서 중심어를 중심으로 하나의 말덩이로 묶이므로 말덩이에 대해서만 그 의존 관계를 파악할 수 있어 구문 분석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은 세종의존말뭉치를 사용해서 성능을 분석했으며 UAS와 LAS가 각각 86.48%와 84.56%였으며 입력의 노드 수도 약 22% 정도 줄일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present a method for dependency parsing with chunking in Korean. Dependency parsing is a task of determining a governor of every word in a sentence. In general, we used to determine the syntactic governor in Korean and should transform the syntactic structure into semantic structure for further processing like semantic analysi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here is a notorious problem to determine whether syntactic or semantic governor. For example, the syntactic governor of the word “먹고 (eat)” in the sentence “밥을 먹고 싶다 (would like to eat)” is “싶다 (would like to)”, which is an auxiliary verb and therefore can not be a semantic governor. In order to mitigate this somewhat, we propose a Korean dependency parsing after chunking, which is a process of segmenting a sentence into constituents. A constituent is a word or a group of words that function as a single unit within a dependency structure and is called a chunk in this paper. Compared to traditional dependency parsing, there are some advantage of the proposed method: (1) The number of input units in parsing can be reduced and then the parsing speed could be faster. (2) The effectiveness of parsing can be improved by considering the relation between two head words in chunks. Through experiments for Sejong dependency corpus, we have shown that the USA and LAS of the proposed method are 86.48% and 84.56%, respectively and the number of input units is reduced by about 22%p.
저자 : 김혜진 ( Hye-jin Kim ) , 박예슬 ( Ye-seul Park ) , 이정원 ( Jung-won Lee )
발행기관 : 한국정보처리학회
간행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11권 7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299-306 (8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최근 로봇이나 설비, 회로 등에 센서 내장이 보편화 되고, 측정된 센서 데이터를 학습하여 기기의 고장을 진단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고장 진단 연구는 고장 상황이나 종류를 예측하기 위한 분류(Classification) 모델 개발과 정량적으로 고장 상황을 예측하기 위한 회귀(Regression) 모델 개발로 구분된다. 분류 모델의 경우, 단순히 고장이나 결함의 유무(Class)를 확인하는 반면, 회귀 모델은 무수히 많은 수치 중에 하나의 값(Value)을 예측해야 하므로 학습 난이도가 더 높다. 즉, 입력과 출력을 대응시켜 고장을 예측을 할 때, 유사한 입력값이 동일한 출력을 낸다고 결정하기 어려운 불규칙한 상황이 다수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주기성을 지닌 입출력 데이터에 초점을 맞추어, 입출력 관계를 분석하고, 슬라이딩 윈도우 기반으로 입력 데이터를 패턴화 하여 입출력 데이터 간의 규칙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MMC(Modular Multilevel Converter) 회로 시스템으로부터 주기성을 지닌 전류, 온도 데이터를 수집하여 ANN을 이용하여 학습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한 주기의 2% 이상의 윈도우를 적용하였을 때, 적합도 97% 이상의 성능이 확보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recent, sensors embedded in robots, equipment, and circuits have become common, and research for diagnosing device failures by learning measured sensor data is being actively conducted. This failure diagnosis study is divided into a classification model for predicting failure situations or types and a regression model for numerically predicting failure conditions. In the case of a classification model, it simply check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ailure or defect (Class), whereas a regression model has a higher learning difficulty because it has to predict one value among countless numbers. So, the reason that regression modeling is more difficult is that there are many irregular situations in which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one output from a similar input when predicting by matching input and output. Therefore, in this paper, we focus on input and output data with periodicity, analyze the input/output relationship, and secure regularity between input and output data by performing sliding window-based input data patterning. In order to apply the proposed method, in this study, current and temperature data with periodicity were collected from MMC(Modular Multilevel Converter) circuit system and learning was carried out using ANN.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when a window of 2% or more of one cycle was applied, performance of 97% or more of fit could be secured.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최근 전력수요를 예측하기 위해 통계기반 시계열 분석 기법을 대체하기 위해 딥러닝 기법을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딥러닝 기반 전력수요 예측 연구 결과를 분석한 결과, LSTM 기반 예측 모델의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규명되었으나 장기간의 지역 범위 전력수요 예측에 대해 LSTM 기반 모델의 성능이 충분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온 데이터를 반영하여 24시간 이전에 전력수요를 예측하는 WaveNet 기반 딥러닝 모델을 개발하여, 실제 사용하고 있는 통계적 시계열 예측 기법의 정확도(MAPE 값 2%)보다 우수한 예측 성능을 달성하는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먼저 WaveNet의 핵심 구조인 팽창인과 1차원 합성곱 신경망 구조를 소개하고, 전력수요와 기온 데이터를 입력값으로 모델에 주입하기 위한 데이터 전처리 과정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개선된 WaveNet 모델을 학습하고 검증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성능 비교 결과, WaveNet 기반 모델에 기온 데이터를 반영한 방법은 전체 검증데이터에 대해 MAPE 값 1.33%를 달성하였고, 동일한 구조의 모델에서 기온 데이터를 반영하지 않는 것(MAPE 값 2.31%)보다 우수한 전력수요 예측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Recently, researches using deep learning-based model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to replace statistical-based time series forecast techniques to predict electric power deman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es shows that the performance of the LSTM-based prediction model is acceptable, but it is not sufficient for long-term regional-wide power demand predic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WaveNet deep learning model to predict electric power demand 24-hour-ahead with temperature data in order to achieve the prediction accuracy better than MAPE value of 2% which statistical-based time series forecast techniques can present. First of all, we illustrate a delated causal one-dimensional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rchitecture of WaveNet and the preprocessing mechanism of the input data of electric power demand and temperature. Second, we present the training process and walk forward validation with the modified WaveNet. The performance comparison results show that the prediction model with temperature data achieves MAPE value of 1.33%, which is better than MAPE Value (2.33%) of the same model without temperature data.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