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Between College Entrance Exam Types and Labor Market Outcomes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대학진학을 희망하는 학생과 학부모는 더 큰 수익을 기대하며 상당한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고 있으므로, 어떤 전형이 투자수익률 극대화를 가져오는지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정시모집으로 대학에 입학한 학생과 수시모집으로 대학에 입학한 학생의 노동시장 성과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수시모집으로 입학한 학생은 정시모집으로 입학한 학생에 비해 유보임금이 낮아 일자리를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았다. 그러나 취업한 후에는 정시모집으로 입학한 학생의 시간당 임금률이 높았다. 앞선 연구에서 정시모집으로 대학에 입학한 학생의 교육투자가 더 많았다는 결과를 얻었는데, 이를 통해 대학에 진학하는 학생과 학부모의 교육투자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high school students and parents invest considerable time and money to go to a top-ranked university, hoping for more return in the future. Therefore, we should evaluate what type of college entrance exam maximizes return on investment.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d the labor market outcomes by the college entrance exam types using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early admission applicant has more possibility of having jobs relative to regular admission applicants, due to the low reservation wage.. However, the hourly wage rate were higher in the regular admission applicant group. The previous study, Jo et al. (2021), reported regular admission applicant group invest more private education and time. Combining the result of our study and Jo et al. (2021), we can infer that the educational investment of highschool students and parents is efficient.
I410-ECN-0102-2022-300-000723236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TIP(TAX ISSUE PAPER) |
77권 0호 |
부동산분석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2022권 0호 |
|
15권 2호 |
|
38권 3호 |
충남경제 |
2022권 7호 |
|
8권 2호 |
KIRI 리포트(포커스) |
551권 0호 |
|
19권 2호 |
한국지방세연구원 연차보고서 |
2021권 0호 |
VIP Report |
740권 0호 |
한국경제주평 |
930권 0호 |
TIP(TAX ISSUE PAPER) |
76권 0호 |
주간금융브리프 |
31권 15호 |
재정포럼 |
313권 0호 |
해양한국 |
2022권 8호 |
|
45권 2호 |
저널 물 정책·경제 |
37권 0호 |
|
32권 3호 |
KIF working paper |
2022권 15호 |
한국지방세연구원 수시연구보고서 |
2022권 8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