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기대인플레이션과 통화정책
Inflation Expectations as a Monetary Policy Tool
박진호 ( Jin Ho Park ) , 곽준희 ( Jun Hee Kwak )
EU학 연구 26권 2호 5-46(42pages)
DOI 10.38158/KJEUS.26.2.1
UCI I410-ECN-0102-2022-300-000737409

기대인플레이션은 중앙은행이 물가안정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지에 대해 경제주체가 신뢰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인식되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 미국, 유로지역, 영국 등의 지역에서 인플레이션이 낮은 수준에서 유지되면서 중앙은행이 어떻게 기대인플레이션을 안착시킬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주목받고 있는 점에 착안하여 3개 지역에 대해 필립스곡선을 사용하여 가계의 기대인플레이션이 실제 인플레이션을 얼마나 잘 예측하는지를 테스트하였다. 실증분석에서는 뉴케인지언 필립스곡선 모형과 네오클래시컬(Neoclassical) 필립스곡선 모형, 그리고 이 두 모형을 혼합한 하이브리드 필립스곡선 모형의 세 가지 필립스곡선모형을 각각 추정한 결과를 토대로 기대인플레이션이 실제인플레이션을 얼마나 잘 예측하는지를 비교하였다. 세 가지 필립스곡선 모형을 3개 지역(미국, 유로지역, 영국)에 대해 2단계일반화 적률법으로 추정한 결과를 보면, 하이브리드 필립스곡선 모형의 예측력이 뉴케인지언 필립스곡선 모형과 네오클래시컬 필립스곡선 모형에 비해 더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구조변화 시점(글로벌 금융위기 전후)을 기준으로 표본기간을 2개로 나눠 하이브리드필립스곡선 모형을 사용하여 추정한 결과에서는 실제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인플레이션의 영향력이 구조변화 이후에 확대되었다. 하이브리드 필립스곡선 모형의 추정 강건성을 테스트하고 필립스곡선 모형의 설명변수 간 상호작용이 어떤지를 알아보기 위해 벡터자기회귀모형을 사용하여 추정한 결과를 보면, 기대인플레이션이 실제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구조변화 이후에 실제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인플레이션의 영향력이 확대되었다. 그러나 기대인플레이션이 실제인플레이션으로부터 받는 영향력이 그다지 많지 않아, 기대인플레이션은 실제인플레이션에 대한 의존성이 낮아 미래지향적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면, 기대인플레이션이 실제인플레이션에 주는 영향력이 상당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중앙은행은 물가안정목표에 기대인플레이션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경제주체와 충분하고도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함으로써 정책투명성 및 신뢰도를 강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Inflation expectations are recognized as a measure of the degree to which economic actors trust whether the central bank can achieve its inflation target. In light of the fact that the issue of anchoring inflation expectations is drawing attention as low inflation continues in some countries, such as the euro area, the predictability of households’ inflation expectations focusing on these regions was verified using the Phillips curve. We compared the predictive power of inflation expectations against actual inflation by estimating the New Keynesian model, which presupposes forward-looking characteristics of inflation expectations, the Neoclassical model reflecting the backward-looking characteristics of inflation expectations, and the Hybrid model mixing both models.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three models mentioned earlier using the generalized momentum method (GMM) for the United States, the euro area, and the United Kingdom, the predictive power of the Hybrid Phillips Curve model, which includes both expected and actual inflation variables in the explanatory variable was found to be superior to those of the other two models. In addition,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Hybrid Phillips Curve model in consideration of structural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effect of inflation expectations on actual inflation increased after the financial crisis. In the result of estimating the VAR model to verify the robustness of the estimated model and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s between variables, inflation expectation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ctual inflation, and the influence of inflation expectations increased after the financial crisis. On the other hand, inflation expectations were relatively unaffected by actual inflation. Therefore, we conclude that inflation expectations have a forward-looking characteristic that does not depend heavily on actual inf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nchoring of inflation expectations is essential in order for actual inflation to anchor the inflation target. As inflation expectation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ctual inflation, the central banks need to further enhance transparency and credibility in policy through sufficient and direct communication with economic agents to ensure that inflation expectations are well anchored against the central bank’s inflation target.

Ⅰ. 서 론
Ⅱ. 기대인플레이션의 특성
Ⅲ. 기대인플레이션의 측정
Ⅳ. 기대인플레이션의 예측력
Ⅴ. 결론 및 시사점
<부록 1> 질적 지표인 기대 인플레이션의 정량화 방법
<부록 2> 충격반응분석 결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