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7.49.19
3.147.49.19
close menu
KCI 등재
무령왕릉 출토 동경의 계보와 연대
Genealogy and Date of Bronze Mirror excavated from Royal Tomb of King Muryeong
福永伸哉 ( Fukunaga Shinya )
백제연구 74권 1-41(41pages)
UCI I410-ECN-0102-2022-900-00075531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공주에 위치한 무령왕릉에서는 한국에서 보기 드물게 3점의 동경이 부장되었다. 본고에서는 특히 변형방격규구경에 주목하여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동경의 계보와 제작 연대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 동경은 후한의 방격규구경을 눌러떼기기법으로 제작하고 여기에 인수상 1개, 짐승상 4개를 더한 특이한 도상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은 이 동경의 제작기법과 인수상 표현에 주목을 하였다. 동경의 표현상태를 관찰한 결과 제작기법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은 공정으로 복원하였다. 먼저 후한경을 본떠 제작한 1차 거푸집에 납을 넣어 밀랍으로 만든 경체를 만든다. 그 다음 표면에 밀랍으로 만든 입체적인 인수상을 입혀 전체가 밀랍으로 만들어진 원형을 만든다. 그리고 이 납원형을 주형토로 감싸고 가열을 하여 2차 주형을 제작하고 청동을 흘려 넣어 완성품인 동경이 완성된다. 이러한 제작기법은 ‘실랍주조법’이라 불리는 것으로 최근의 연구에서 수경이나 당경의 제작에 사용되었다고 밝혀지고 있다. 인수상은 긴 자루의 무기를 든 인물과 네 마리 짐승이 질주하는 모습을 표현한 사냥문이라 할 수 있다. 사냥문의 모티브나 인수의 방향 등은 당경(唐鏡)과 가장 유사하다. 이상과 관련하여 필자는 이 동경이 수경이나 당경으로 이어지는 계보상의 중국거울이며, 그 제작연대는 무령왕이 재위한 6세기 1분기라고 추정하였다. 무령왕이 남조(南朝) 양(梁)에 파견한 512년과 521년이 그 입수시기로 보았다. 이것이 인정된다면 역시 후한경을 눌러떼기기법으로 제작된 다른 두 점도 양(梁) 대의 동형경일 가능성이 있다. 후한경의 복제경은 일본의 5~6세기 고분에서 약 130점이 출토된다. 일본고고학에서는 이들이 5세기 중엽에 왜 왕권이 교섭관계에 있던 남조 송나라로부터 입수한 것으로 보고, 그 일부가 왜 왕권으로부터 백제에도 제공되었다고 보는 설이 유력하다. 그러나 무령왕릉 동경이 양나라의 것이라면, 왜와 남조의 관계가 끊어진 6세기에 백제를 경유하여 왜 왕권에 가져다준 반환경일 가능성이 생긴다. 이처럼 무령왕릉 출토 동경은 일본에서 출토되는 복제원의 역사적 평가를 재검토하는데 중요한 열쇠를 지니고 있다. 필자는 향후 무령왕릉 출토 동경의 제작기법이나 도문에 대한 연구가 한층 더 진전될것으로 기대한다.

In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located in Gongju, three pieces of bronze mirror were buried, which is rare in Korea. In this paper, the genealogy of the bronze mirror excavated from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nd the production date were examined,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 modified Bronze Mirror with Design of Square and Ruller Marks. This bronze mirror is made from Bronze Mirror with Design of Square and Ruller Marks of the Late Han with pressure technique, and has a unique icon that adds 1 statue of an human head and 4 statues of beasts.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f this bronze mirror and the expression of the statue of an human head.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expression state of bronze mirror, the manufacturing technique was restored by the following process. First, a hard body made of beeswax is made by putting lead into the primary mold that is modeled after the mirror of Late Han. Then, a three-dimensional human head figure made of wax is applied to the expression to create a prototype made entirely of wax. And the lead prototype is wrapped with the soil of mold and heated to make a secondary mold, and bronze is poured to complete the finished product, the bronze mirror. This manufacturing technique is called ‘cire perdue’, and recent research has revealed that it was used for the production of Sui mirror or Tang mirror. The human head statue is a hunting scene that depicts a man with a long sack of weapons and four animals running. The motif of the hunting gate and the direction of the human head are most similar to that of Tang mirror. In connection with this, writer assumed that this was the Chinese mirror of a genealogy leading to Sui mirror or Tang mirror, and that the production date was the first quarter of the 6th century when King Muryeong was re-elected. The years 512 and 521 that King Muryeong dispatched to Yang of South Dynasty were considered to be the period of entry. If this is recognized, it is possible that the other two produced by the pressure technique on Late Han mirror will also be the Same Model Mirror from the Yang Dynasty. About 130 pieces of the Late Han-Dynasty Mirror are excavated from tombs in the 5th and 6th centuries in Japan. Japanese archaeology is widely believed to have obtained them from the Song of South Dynasty, where the japanese royal power was negotiated in the mid-5th century, and some of them were provided to Baekje from the Japanese royal power. However, if bronze mirror of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belongs to the Yang Dynasty, it is possible that it was an returning mirror that was brought to the throne through Baekje in the 6th century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Japan and South Dynasty was severed. As such, the excavation of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has an important key to reviewing the historical evaluation of the cloning institutes excavated in Japan. In the future, writer expects further research on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design of bronze mirror excavated from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Ⅰ. 머 리 말
Ⅱ. 3점의 동경
Ⅲ. 변형방격규구사신경의 제작기법과 시기
Ⅳ. 무령왕릉 출토 거울과 동형경을 검토하며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