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총기 소지에 대해 법적으로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는 나라 중 하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총기와 관련된 총기난사와 같은 범죄는 많은 수는 아니지만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동안 국내에서 총기난사 사건에 대한 연구는 개별적인 사건에 대한 연구이거나 군부대 사건에 대한 연구 혹은 개별 사건의 생존자에 관한 연구로 비교적 좁은 범위에 한정되어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의 범주에서 한발 더 나아가 그간 국내에서 발생한 모든 총기난사 사건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범죄 스크립트 분석을 진행하였다.
국내 총기난사 사건의 범죄 스크립트 분석은 ‘범행 준비 단계’, ‘범행 실행 과정 단계’, ‘범행 실행 이후 행동 단계’와 같이 세 단계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렇게 세 단계로 분류되는 범죄 스크립트 각각의 단계마다 합리적 선택 이론의 관점을 기초로 하여 세부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단계별로 발생하는 총기난사 범죄에 대하여 예방할 수 있는 개입 포인트를 식별하고 총기 소지에 대한 제도적 보완을 통해 총기 관리의 효율성을 증가시켜 국내 총기난사 사건의 발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 shooting rampage can be defined as an event that involves an individual opening fire indiscriminately with the intention to kill or injure as many lives as possible in public settings. South Korea is one of the countries strictly controlling the possession of firearms. Nevertheless, there have been numerous shooting rampage cases. Shooting rampage cases have received much attention from media, but not much attention has been given from academicians.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shooting rampage cases occurred since 1970 in South Korea. The crime script analytic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based on rational choice theory. A total of 22 cases of shooting rampage cases was utilized for analysis. Based on the initial involvement model of rational choice theory, our analysis revealed three general reasons for committing shooting rampages. As well, findings showed that shooting rampage cases were divided into three general scripts (i.e., planning, execution, and after crime stages). Implications for policie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It is expected that the present study might add to a body of literature on shooting rampage c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