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ychological Symbolism of the Shamanic Song of Princess Bari :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들어가는 말 대상무가 바리공주와 그유화 무가 바리공주의 심리학적 상징성 나가는 말 참 고 문 헌
바리공주는 부모인 왕과 왕비의 일곱 번째 딸로 태어나자마자 버림을 받지만, 병든 아버지를 살리기 위한 약을 얻기 위해 홀로 저승에 간다. 그리고 험난한 시련을 통하여 재생의 불사약을 가져와 죽은 부모를 살리고 신격을 획득함으로써 만신의 왕이 되는 무속신화이다. 무당의 조상인 바리공주의 삶에는 시련과 고통을 견디며 죽고, 새롭게 탄생해야 하는 무당의 필수적인 입무과정이 내포되어 있다. 바리공주가 신성을 획득하여 무조의 신이 되는 그 이야기속에서, 집단적 무의식의 원형, 원초적 상인 신화소를 발견할 수 있다.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본다면 고통, 죽음, 재생의 과정을 거치고 만신의 왕이 된 바리공주는 영웅신화에서 볼 수 있는 개성화 과정의 일단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바리공주는 부모의 병을 그냥 고치는 것이 아니라 죽음에서 살아나게 하였다. 죽은 부모를 살아나게 하는 생명의 약을 구할 수 있었던 것은 바리공주가 일상의 하찮은 일을 반복적으로 하며 견딘 자기희생적인 부모에 대한 사랑과 자비이다. 바리공주는 자아의 입장보다 넓은 자기(Self)에 입각해서 세상을 바라보고 행동하였다. 저승에서의 고행 속에서 치료자의 조건을 갖춘 바리공주는 영혼의 인도자이며, 치유자원형인 것이다. 이렇게 바리공주의 고통을 넘어선 신성한 치유의 힘은 한국인의 심성 속에 내재한 자기원형, 즉 치유자의 어떤 신적인 상을 깨우쳐 주는 상징적 힘인 것이다.
Princess Bari, the seventh daughter of the King and Queen, is abandoned at birth. She one day embarks on a solitary journey into the underworld to seek the antidote she needs to save her ailing father. The shamanic myth then depicts terrible ordeals, after which the Princess manages to obtain the elixir of life to bring her parents back to life, leading to her deification as the Queen of all shamans. The life of Princess Bari as the ancestor of shamans incorporates the necessary rite of passage to become a shaman, persevering through all manner of trials and tribulations until death and then being reborn. Princess Bari’s story of deification as the goddess of shamans constitutes the archetype or the primitive image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 the mytheme.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Princess Bari, who became the Queen of shamans after undergoing a process of pain, death, and then rebirth demonstrates a facet of the individuation process, evident in heroic mythology. Princess Bari not only cured her parents of disease but also brought them back to life. What enabled her to obtain the elixir to resurrect her parents was her love and compassion for them based on self-sacrifice, enduring all the trivial and repetitive undertakings of everyday life. She viewed the world and behaved from the perspective of a broader Self. Making herself a powerful healer through the ordeals in the underworld, Princess Bari is the psychopomp as well as the healer archetype. The sacred power of healing that goes beyond the Princess’ sufferings represents the Self Archetype inherent in the mentality of the Koreans, in other words, a symbolic power that indicates the divine representation of a healer.
I410-ECN-0102-2022-100-000806012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
7권 0호 |
|
23권 1호 |
|
25권 1호 |
|
25권 0호 |
|
26권 0호 |
심성연구 |
36권 2호 |
|
24권 2호 |
|
22권 4호 |
|
24권 2호 |
|
14권 2호 |
|
24권 4호 |
|
22권 2호 |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
6권 0호 |
|
22권 3호 |
|
24권 1호 |
|
24권 3호 |
심성연구 |
36권 1호 |
|
22권 1호 |
|
14권 1호 |
|
22권 2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