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rtuous Action in the Agent-Based Virtue Ethics and Practical Wisdom
10.38199/KJE.10.2
1. 들어가는 글 2. 유덕한 행동을 위한 수단적 역할로서의 인식적 요소 3. 유덕함의 기준이 실천적 지혜에 의존할 가능성 4. 행위자 근거주의적 실천 이성 5. 행위자 근거 주의를 위한 대안적 유덕함의 기준 6. 나오는 글 【참고문헌】
슬로트(Michael Slote)는 덕 윤리학을 행위자 우선(agent-prior), 행위자 초점(agent-focus), 행위자 근거(agent-based) 윤리로 삼분하고, 행위자의 동기를 유덕함의 유일한 판단 준거로 삼는 행위자 근거 이론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정감주의 자로서의 슬로트가 제시하는 행동에 대한 유덕함의 평가 기준이 그의 의도와는 달리 이성 작용에 의존하고 있을 가능성에 대해 비판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슬로트가 명시한 유덕한 행동의 기준과 도덕적 판단에 대한 논의를 탐구한 후, 동기를 행동으로 적절하게 반영하기 위해서는 실천적 지혜가 요구되는 것으로 보인다는 점을 지적한다. 또한, 슬로트가 실천적 이성을 특정 종류의 동기를 바탕으로 행동하는 것으로 이해하려는 시도에 대해서, 자기기만과 같은 비합리적인 동기로 행동하는 행위자가 합리적인 동기로 행동하게 되는 인식 전환의 과정에 실천적 지혜가 요구될 가능성이 있음을 지적한다. 동기 중심적 유덕함의 준거와 실천적 지혜 간의 긴밀한 관계에 대한 비판은 슬로트의 덕 이론이 자기모순에 당면했음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치명적이다. 이러한 약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유덕함의 판단 기준을 도덕 정감이나 탁월한 인식 수준과 같은 개별 요소에 두지 않고, 도덕 정감과 인식 작용 간의 균형에 두는 대안적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paper critically discusses whether Michael Slote's evaluation for virtuous action as a sentimentalist has succeeded without relying on practical wisdom. An analysis of Slote’s evaluation in this paper identifies the risk of self-contradiction in that the criteria for virtuous action seems achievable only when the agent has practical wisdom. In contrast to Slote’s contention, the paper argues that practical wisdom is found as a hidden prerequisite to achieving virtuous action in Slote’s argument. To overcome these weaknesses, this paper suggests the need to expand the criteria used to evaluate virtuous action, expecting harmony between wisdom and sentiment. In addition to the criterion of virtuous action that Slote suggests, this paper argues for the inclusion of two other factors in the evaluation process. These are the acquisition of relevant facts, and deliberation. Collectively, these three factors (moral sentiment, acquisition of relevant facts, and deliberation) can help reflect virtuous action via the dynamic status of equilibrium. Additionally, the conception of wisdom borrowed from buddhist philosophy could be used to understand the second factor, deliberation.
I410-ECN-0102-2022-100-000621888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
25권 2호 |
|
36권 0호 |
|
29권 0호 |
|
71권 0호 |
|
43권 0호 |
|
41권 2호 |
|
104권 0호 |
|
11권 1호 |
|
66권 0호 |
한국불교사연구 |
21권 0호 |
문학/사학/철학 |
69권 0호 |
|
88권 2호 |
|
33권 0호 |
|
45권 0호 |
|
14권 0호 |
|
33권 2호 |
강원문화연구 |
45권 0호 |
|
127권 0호 |
|
45권 0호 |
|
137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