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고급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가 쓰기 주제에 따라 문어를 산출할 때 복잡성과 정확도에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 통사적 측면과 어휘적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쓰기 주제에 따른 언어 수행 양상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한국어를 전공하는 교환학생이 작성한 개인적 주제의 쓰기 자료와 사회적 주제 쓰기 자료를 대상으로 쓰기 주제에 따른 언어 수행 양상을 통사적 측면과 어휘적 측면으로 나누고 각각의 복잡성과 정확도에 집중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통사적 측면 복잡성에 대한 평균값을 보면 모든 항목에서 사회적 주제에서 미묘하지만 높은 값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쓰기 주제에 따른 통사적 복잡성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다고 볼 수 있었다. 어휘적 측면 복잡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어휘 다양도와 어휘 밀도를 측정하였다. 어휘 다양도를 측정한 결과 전체항목 중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항목은 ‘1회 이상 사용 어휘’와 ‘4회 이상 사용 어휘’, ‘6회 이상 사용 어휘’로 학습자들은 사회적 주제의 쓰기를 할 때 특정한 어휘를 다수 중복으로 사용하여 개인적 주제 쓰기 자료의 어휘 다양도가 높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어휘 밀도를 측정한 결과 사회적 주제 쓰기에서 일반명사, 개인적 쓰기에서 일반부사 사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통사적 측면과 어휘적 측면에서 정확도를 살펴본 결과 모두 평균 값에서는 사회적 주제가 개인적 주제보다 정확도가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아 쓰기 주제가 학습자의 언어 수행에서 정확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spects of the language performance of advanced learners of Korean according to the topics of their compositions. This study separated syntactic and vocabulary aspects of the topics when examining the complexity and accuracy of writing by exchang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Regarding the average value of syntactic complexity, all items were found to show high values in compositions on social subject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yntactic complexity by topic. Furthermore, vocabulary diversity and vocabulary density were measured as indices of lexical complexity, and the items tha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vocabulary used more than four times and vocabulary used more than six times. This confirmed that the vocabulary diversity of personal subject writing materials was high. There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se of common nouns in social subject writing and the use of common adverbs in personal writing. Finally, it was found that compositions on social subjects showed higher accuracy than personal subjects on an average.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s indicates that the writing topic did not affect the accuracy of learners’ language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