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한 중재프로그램이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및 균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문을 2010-2020년까지 추출하였다. 학술지 및 학위논문 총 1475편 중 배제논문을 추출한 결과 최종논문 6개의 논문을 선정하였으며, 메타분석을 위해 R 4.0.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개별 연구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한 중재프로그램이 치매환자의 인지기능과 균형의 전체 효과크기는 0.78로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한 중재프로그램이 치매환자의 인지기능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각각 분석한 결과 MMSE는 0.84, BBS는 0.74로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한 중재 방법이 치매 환자의 인지기능 및 균형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치매환자들을 위한 사회적인 정책방안이 임상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papers on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based intervention programs on cognitive function and balance in dementia patients were extracted from 2010-2020. As a result of extracting excluded papers from a total of 1,475 journals and dissertations, six final papers were selected, and the effect size of individual research was calculated using the R 4.0.3 program for meta-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virtual reality-based intervention program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effect size of cognitive function and balance of dementia patients with a moderate effect size of 0.78.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based intervention programs on cognitive function and balance of dementia patients, MMSE was 0.84 and BBS was 0.74.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ntervention method based on virtual re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cognitive function and balance of dementia patients. In order to improve the cognitive function and balance of dementia patients in the future,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can be social policy measures should be practically implemented in the clinical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