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lege Regulation and International Students
Ⅰ. 서 론 Ⅱ. 대학 정원규제 제도 Ⅲ. 이론 모형 Ⅳ. 분석 자료 Ⅴ. 실증모형 및 분석 결과 Ⅵ. 결 론 참고문헌 자 료 < 부록 1: 이론 모형의 증명 > < 부록 2: 전국 4년대 일반 사립대학 현황 정보(2017 현재) >
최근 서울 소재 사립대학들을 중심으로 외국인 유학생의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 정원 및 등록금 규제 하에 대학의 재정건전성이 악화된 점이 이러한 현상의 한 가지 원인이라는 가설을 제기하고 그 타당성을 이론 및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위해 대학의 학생선발 모형을 구성하고 대학의 재정건전성 악화가 외국인 유학생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음을 이론적으로 논의한다. 또한 2008~2019년 중 전국의 149개 대학의 학생 및 재정 정보를 연도별로 연결한 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서울 소재 사립대학들의 경우 대학 재정의 악화가 외국인 유학생의 증가에 영향을 미쳤음을 실증적으로 검증한다.
This study shows that one of the reasons behind the recent increase in international students at private univers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s the financial conditions of universities that have deteriorated under the governmental regulation on college enrollment and tuition for domestic students. We provide a theoretical framework showing the possibility that universities try to avoid the regulation by admitting international students who are not subject to the regulation. Our empirical analysis of four-year private universities during 2008-2019 reveals that private universities in Seoul tend to increase the share of international students when the financial situation deteriorates.
I410-ECN-0102-2022-300-000662601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
29권 1호 |
|
27권 1호 |
한국경제주평 |
927권 0호 |
|
19권 1호 |
충남경제 |
2022권 4호 |
해양한국 |
2022권 5호 |
|
33권 2호 |
|
24권 1호 |
기타보고서 |
2022권 3호 |
|
36권 1호 |
재정포럼 |
309권 0호 |
|
25권 1호 |
KILF Report |
126권 0호 |
한국지방세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
2021권 31호 |
주간금융브리프 |
31권 7호 |
|
24권 1호 |
|
45권 1호 |
|
36권 1호 |
Groundwater |
2022권 1호 |
|
27권 1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