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enomenological Study of Volunteer Experience of Long-Term Volunteers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본 연구는 장기간 자원봉사활동자들의 자원봉사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충남 서천군에 거주하며, 자원봉사활동을 지속하고 있는 6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는 2019년 9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되었으며, Giorgi의 현상학적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장기간 자원봉사자들의 자원봉사 경험과 관련하여 범주 4개, 하위범주14개, 의미단위 63개가 도출되었으며, 본질적인 주제는 ‘삶 중심의 변화가 가져온 제2의 인생’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양한 동기로 자원봉사를 접하는 ‘기대와 두려움으로 시작’의 과정을 경험하고, 일상적인 삶에서 느끼지 못하는 감동을 느끼는 ‘새로운 경험으로 자원봉사활동 굳히기’과정을 경험한다. 또한 중단의 위기를 겪고 극복하며 ‘봉사활동을 오래도록 이끄는 힘의 원천’을 경험하게 되어 결국 ‘자원봉사활동 속에서 자신의 삶 찾기’과정을 경험한다. 분석결과를 통하여 자원봉사활동을 지속하는 가장 큰 힘은 가족의 지지, 자원봉사로 인한 삶의 활력, 지역사회 연대의 힘, 엄마처럼 품어주기로 드러났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understand the volunteer experience of long-term volunteer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llected for six people living in Seocheon-gun, Chungcheongnam-do and continuing volunteer work.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9,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and analyzing it. The analysis resulted in four categories, 14 subcategories, and 65 meaning units related to volunteers' long-term volunteer experiences, and the theme of the experience was “first experience of expectation and fear” of volunteering with various motives. In addition, he experiences the “source of power that leads volunteer activities for a long time” by overcoming the crisis of suspension, eventually experiencing the “finding his own life in volunteer activiti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biggest strength of continuing volunteer work was family support, the vitality of life due to volunteer work, the power of group solidarity, and embracing like a mother. The analysis results, it was revealed that the greatest strength to continue volunteering was family support, vitality of life due to volunteering, the power to guide each other, and cherishing like a mother.
I410-ECN-0102-2022-100-000678529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
7권 0호 |
|
23권 1호 |
|
25권 1호 |
|
25권 0호 |
|
26권 0호 |
심성연구 |
36권 2호 |
|
24권 2호 |
|
22권 4호 |
|
24권 2호 |
|
14권 2호 |
|
24권 4호 |
|
22권 2호 |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
6권 0호 |
|
22권 3호 |
|
24권 1호 |
|
24권 3호 |
심성연구 |
36권 1호 |
|
22권 1호 |
|
14권 1호 |
|
22권 2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