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development and the effectiveness of college student's job-seeking anxiety intervention program based on process-experiential psychotherapy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결과 IV. 논의 참 고 문 헌
본 연구는 과정체험적 심리치료 이론에 기반한 대학생 취업불안 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대학생의 취업불안 및 진로정서조절 회피능력 감소와 진로준비행동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은 목표수립, 프로그램 구성, 예비연구, 실시 및 개선의 4가지 단계를 거쳐 최종 개발되었다. 연구대상은 K도에 위치한 D대학의 2~4학년 학생 중 취업불안을 경험하고 있으며, 자발적으로 학생상담센터에 프로그램을 신청한 학생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집단은 3집단 25명이고 통제집단은 3집단 21명으로 총 6집단 4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그 중 실험집단에는 주 2일, 1일에 2회기씩 총 6회기 프로그램이 실시되었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비교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 결과 실험집단의 취업불안과 진로정서조절 회피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진로준비행동 점수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점수 차이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 본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취업불안을 감소시키고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진로 상담 현장에서 정서에 대한 개입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음에 따라 시대적 변화에 맞춰 정서를 생생하게 경험할 수 있는 과정체험적 심리치료를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rogram of college student's job-seeking anxiety based on process-experiential psychotherapy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on decrease of job-seeking anxiety, avoidance of career emotion regulation and improvement of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experimental group was a total of 25 college students 3 groups, and the control group was a total of 21 students 3 groups; the total was 6 groups and 46 student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 total of 6 sessions (twice a week, two sessions per one meeting) were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pre- and post-examinations were conducted on research participants and results were compared,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pre and post tests, job-seeking anxiety, avoidance of career emotion regulation of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and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progra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developed a program based on an empirical process of vividly experiencing emotions as the need for emotions grows at career counseling sites.
I410-ECN-0102-2022-100-000678498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
7권 0호 |
|
23권 1호 |
|
25권 1호 |
|
25권 0호 |
|
26권 0호 |
심성연구 |
36권 2호 |
|
24권 2호 |
|
22권 4호 |
|
24권 2호 |
|
14권 2호 |
|
24권 4호 |
|
22권 2호 |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
6권 0호 |
|
22권 3호 |
|
24권 1호 |
|
24권 3호 |
심성연구 |
36권 1호 |
|
22권 1호 |
|
14권 1호 |
|
22권 2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