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7
216.73.216.17
close menu
KCI 등재
한국공인회계사회의 평균감사투입시간 제공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Average Audit Hours Provided by KICPA
박종성 ( Jong-sung Park ) , 곽승욱 ( Seung-woog Kwag )
UCI I410-ECN-0102-2022-300-000717014

[연구목적] 한공회는 감사에 적정한 시간을 투입하도록 유도할 목적으로 2011년부터 2014년까지 감사인들에게 평균감사투입시간을 제공하였다. 한공회가 제공한 평균감사투입시간은 주요회계법인의 과거 3개년 평균치로서 일종의 가이드라인 일뿐, 실제투입시간이 이에 미치지 못한다고 해서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는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들은 한공회의 평균감사투입시간 제공이 감사시간 증대에 기여하였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에 추가하여 한공회가 평균감사투입시간 제공을 종료하였을 때 감사시간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분석함으로써 평균감사투입시간 제공의 효과를 좀 더 명확하게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17년까지 유가증권거래소 및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평균감사투입시간 제공 기간(2012년~2014년)과 평균감사투입시간 제공종료 후 기간(2015년~2017년) 사이에 감사투입시간 증가정도가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증분석 결과, 한공회가 평균감사투입시간 제공을 종료한 후 감사시간의 증가 정도는 제공 기간에 비해 유의하게 작아졌으며, 그 영향은 Non-Big 4일수록 더 컸다. 특히, 평균감사투입시간 제공 이전과 제공 종료 후 기간의 감사시간 증가 정도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평균감사투입시간 제공으로 인해 감사시간이 증대되었으나 제공 종료 후에는 다시 제공 이전 상태로 되돌아갔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연구의 시사점] 비록 안내자료이긴 하나 한공회의 평균감사투입시간 제공은 감사인들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친 반면, 감사시간의 공시 등은 감사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외부감사법 전면개정을 통해 한공회가 표준감사시간을 정해 감사인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은 매우 의미있는 정책으로 판단된다. 향후 공동주택 감사나 비영리기관 감사 등에도 표준감사시간을 정해 제공하는 방안을 추가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Purpose] In order to induce sufficient time for auditing, the KICPA provided average audit hours for auditors from 2011 to 2014. The average audit hours provided by the KICPA are the average of the past three years of the major accounting corporation. It is a kind of guideline, but any action has been taken even though the actual audit hours were not enough. Nonetheles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provision of average audit hours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audit time. In addition to thes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is to more thoroughly clarify the effect of providing the average audit hours by analyzing how audit time changes when KICPA ends providing average audit hours. [Methodology] The study analyzed whether the increase in audit hou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periods(2012-2014 vs. 2015-2017) for the companies listed in the KOSPI and KOSDAQ markets from 2011 to 2017. [Finding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increase in the audit hours wa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at of the providing period after the end of providing the average audit hours, and the effect was larger at Non-Big 4. In particula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ncrease in the audit hours between the prior period of providing the average audit hours and the period after the end of the provision. This result shows that the audit time increased due to the provision of the average audit hours, but it returned to the pre-provision state after the end of the provision. [Implication] Although it is a guide, it is shown that the provision of average audit hours by the KICPA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auditors, while the disclosure of audit hours has no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uditors. In this respect, it is very meaningful that regulatory bodies amended the act on external audit of stock companies so that KICPA sets standard audit hours and provides it to the auditors. It will also be necessary to consider setting standard audit hours for apartment house audits or nonprofit organization audits.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및 가설설정
Ⅲ. 연구모형 및 표본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