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Study on the Male Adolescents’ Definition of Masculinity and Misogyny focusing on the Role of Peers
10.34244/JFOYS.2021.18.1.1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의 영향을 받아 남성성을 수행하는 남자 청소년의 남성성 기준과 그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여성혐오 현상을 밝히는 것이다. 남자 청소년들의 또래 간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남성성 기준과 남성성 수행이 여성혐오 현상으로 이어지는 맥락을 파악하기 위해 12명의 남자 청소년을 심층면접 하였다. 심층면접으로 수집된 자료는 현상학적 질적연구 연구방법 중 하나인 Colaizzi(1978)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참여자들의 진술로부터 34개의 주요 의미들을 추출하고, 이를 다시 13개의 주제, 4개의 주제 묶음으로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남자 청소년의 남성성 기준은 또래 남성집단의 인정을 바탕으로 하므로 또래에게 남성성을 인정받지 못하면 남자 청소년은 집단에서 탈락할 수 있다는 위기의식을 느꼈다. 남자 청소년은 동성 또래 집단에게 소속되기 위해 자신이 가진 여성에 대한 성적인 욕망과 여성을 대상화할 수 있는 우월한 남성임을 표현했다. 그렇지만 일부 남자 청소년은 여성을 대상화하는 여성혐오적인 태도에 대해 불편함을 느끼거나 남성들에게도 여성성이 존재한다는 수용적 태도 또한 갖고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연구가 별로 없는 남자 청소년의 남성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남성성 수행과정에서 비롯된 여성혐오 현상이 긍정적으로 변화할 가능성을 발견했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riteria for masculinity among male adolescents who perform masculinity under peer influence and the phenomenon of misogyny that occurs in their masculinity performance. Twelve male adolescents were interviewed in-depth to understand the context in which the criteria for masculinity and the performance of masculinity by peer interactions among male adolescents lead to misogyny. The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the method of Colaizzi (1978), one of the methods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34 significant meanings were extracted from participants’ statements, which were again categorized into 13 themes and 4 theme clusters. According to the analysis, male adolescents felt a sense of crisis that they could be excluded from the group if their peers did not recognize their masculinity because the criteria for masculinity of male adolescents were based on the recognition of male peer groups. Male adolescents expressed their sexual desire for women and superior men who can objectify women in order to belong to peer groups. However, male adolescents also were uncomfortable with the misogynistic attitude of objectifying women or had a receptive attitude that femininity exists in men.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conducted one of a few studies on masculinity in male adolescents. It is also meaningful that we found the possibility of a positive change in the misogyny result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masculinity.
I410-ECN-0102-2022-300-000524275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
30권 5호 |
|
6권 3호 |
|
19권 4호 |
|
29권 4호 |
|
13권 6호 |
|
20권 3호 |
|
5권 3호 |
|
26권 4호 |
|
19권 4호 |
편집학연구 |
3권 0호 |
경상논집 |
42권 1호 |
산업클러스터 |
2010권 0호 |
문화와 세계 |
3권 2호 |
|
65권 0호 |
|
7권 4호 |
|
39권 0호 |
|
63권 0호 |
|
9권 0호 |
|
29권 0호 |
|
47권 0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