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4
216.73.216.144
close menu
KCI 후보
학교폭력가해청소년과 학교폭력가해피해청소년의 특성연구: 자존감의 매개효과
A Study on Difference of School Bully and School Bully-Victim Groups - Mediating Effect Self-Esteem
염영미 ( Yom Yeong-mi )
UCI I410-ECN-0102-2022-300-000530139

본 연구는 가해청소년 가운데 피해경험을 가진 청소년을 분류해 학교폭력가해행위와 관련된 가해청소년과 가해피해청소년의 특성을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라남도 내18개 지역의 학교폭력가해청소년 115명을 대상으로 가해, 피해경험을 조사한 후 가해집단(57명)과 가해피해 집단(58명)으로 나누었고 T검증, 상관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폭력의 허용적 태도, 자기통제, 자존감, 한국판 청소년 자기행동평가척도(K-YSR)의 T검증을 통한 집단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가해집단은 폭력의 허용적 태도, 자기통제, 자존감, K-YSR에서 밀접한 상관이 있었으나 가해피해집단은 자기통제, 자존감, K-YSR은 상호 상관이 있었으나 폭력의 허용적 태도는 상관이 없는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해피해 집단은 자기통제와 외현화 요인간의 자존감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나 가해 집단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가해피해청소년의 경우 가해청소년과 달리 자존감에 의해 공격성을 포함하는 외현화행동이 영향을 받고 있으며 폭력에 대한 태도에 있어 피해경험으로 인한 불안, 분노의 감정이 학교폭력가해행위에 대한 강한 인식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는 가해청소년과 가해피해청소년의 가해행위와 관련된 심리적 특성의 차이를 보여주는 만큼 가해피해청소년에 대한 차별화된 접근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bully-victim adolescent's characteristics by classifying bully adolescent into experienced victimization In order to this study, Bully Groups and bully-victim groups were divided after examining bully and victim into 115 dates were collected from 18 local bully students in Jeollanam-do. T-test, correlational analyses, regression analyses were employed to investigate those rel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test didn't show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permissive attitudes of violence, self-control, self-esteem, Korean-Youth Self Report(K-YSR). Second, Bully groups appeared stronger correlations between permissive attitudes of violence and self-control, self-esteem, K-YSR whereas, bully-victim groups didn't show correlations between permissive attitudes of violence and the others. Third, Bully-victim groups appeared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self-control and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 but Bully groups didn't appear that. As a result, bully-victim adolescent are affected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 including aggression by self-esteem unlike bully adolescent. Anger, anxiety caused by victim experience showed strong recognition about bully behavior. Therefore bully-victim adolescents of intervention are required differentiated approach as there is a different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bully adolescents.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