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지식은 개인이 건전한 경제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지녀야 하는 기초 역량이며 현대 사회에서 갈수록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에 정착한 북한 이탈주민의 경제 지식수준 파악에 초점을 두었다. 조사 결과 북한 이탈주민은 전반적으로 경제 지식의 부족이 심각하다. 스스로 한국에서 경제생활을 하는 데 필요한 경제 지식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지 못하다고 평가하는 경향이 있어 과신문제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들은 특히 재정 적자, 거래의 이득 원리, 인플레이션의 영향, 국내 총생산, 희소성과 합리적 선택 원리, 시장의 역할, 화폐의 기능 등의 개념과 원리에 대한 이해도가 절대적으로 낮은 수준에 있다. 회귀분석 결과 소득이 높은 사람과 경제교육을 받기를 희망하는 사람의 경제 지식 점수는 그렇지 않은 사람의 점수보다 높으며, 경제 문제에 대한 관심도가 북한 이탈주민의 경제 지식 점수 향상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반면에 경제 지식에서 성별 차이는 없으며, 북한이탈주민이 받고 있는 각 기관에서의 경제교육이 이들의 경제 지식수준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경제교육을 받기를 원하는 북한 이탈주민이 많이 있으므로 교육 수요에 부응하는 특화된 경제교육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 경제 지식이 부족하면서도 경제교육을 원하지 않는 북한 이탈주민을 교육의 장으로 유인할 수 있는 인센티브 마련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Economic knowledge is a fundamental competency that an individual has to possess to maintain sound daily economic activities, with growing value in a modern society. This study analyzes the level of economic knowledge of North Korean defectors. There is a salient lack of economic knowledge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In particular, they need to understand economic concepts such as fiscal deficit and national debt, gains from trade, effects of inflation, gross domestic product, scarcity and rational choice, the role of markets, and functions of money. The estimation results reveal that income and the desire for economic education are significant factors to predict economic knowledge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ose who are interested in economic issues also have higher economic knowledge scores.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evidence for gender difference. Economic education programs currently provided for North Korean defectors fail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ir economic knowledge. As many North Korean defectors demand economic education opportunities, the focus should be on supplying target-specific programs in order for them to overcome their weak areas of knowledge. Working incentives are also needed to attract North Korean defectors who lack economic knowledge but do not want economic education.
UCI(KEPA)
I410-ECN-0102-2022-300-000560062
간행물정보
: 사회과학분야 > 경제학
: KCI등재
:
: 연3회
: 1226-7805
: 2713-5187
: 학술지
: 연속간행물
: 1996-2022
: 409
저작권 안내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