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longitudinal study on the influence of preschooler’s daily life activities and mother and preschooler’s play and learning time on preschooler’s media use time
10.36431/JPE.13.1.10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본 연구는 유아의 3년간의 미디어 사용 시간의 변화 궤적을 살펴보고, 유아의 일상생활 시간과 어머니와 유아의 놀이 및 학습시간이 유아의 미디어 사용시간 변화궤적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 자료의 2012년~2014년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유아의 미디어 사용 시간, 유아의 수면 시간, 실내놀이시간, 실외놀이시간, 식습관, 어머니와 유아의 놀이 및 학습 시간과 관련된 설문지이며,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잠재 성장곡선 모형 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만 4세부터 6세까지 미디어 사용 시간은 줄어들었고, 개인차가 있었다. 유아의 미디어 사용 시간 초기치에는 유아의 일상생활 활동 전체와 어머니와 유아의 놀이 및 학습 시간이 영향을 주었고, 변화율에는 유아의 실내놀이시간과 어머니와 유아의 놀이 및 학습 시간만 영향을 주었다. 이는 유아가 일상생활 활동이 규칙적이고 어머니와 유아의 놀이 및 학습 시간을 같이 보낼 때 유아의 미디어 사용 시간을 장기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trajectory of changes in the media use time of preschoolers for 3 years.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daily life time of preschoolers and the playing and learning time of mothers and preschoolers influenced the trajectory of changes in preschoolers’ media use time. The study subjects used 2012-2014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The research tool is a questionnaire related to media use time of preschoolers, preschooler’s sleep time, indoor play time, outdoor play time, eating habits, and play and learning time of mothers and preschoolers. Descriptive statistics and latent growth curve model analysi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media usage time decreased from 4 to 6 years old, and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Preschoolers’ daily activities and mother and preschooler’s play and learning time influenced the preschooler’s initial media use time. Also, indoor play time of preschoolers and play and learning time of mothers and preschoolers influenced the change rate of preschoolers’ media use time. This suggests that children’s media usage time can be managed in the long term when preschoolers have regular daily activities and share their mother and preschooler’s play and learning time together.
I410-ECN-0102-2022-000-000599555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
73권 0호 |
|
28권 2호 |
|
13권 2호 |
|
23권 1호 |
|
65권 2호 |
|
16권 2호 |
|
22권 4호 |
|
19권 4호 |
|
26권 1호 |
|
64권 0호 |
|
25권 2호 |
|
34권 1호 |
|
23권 2호 |
|
12권 3호 |
인지행동치료상담연구 |
3권 1호 |
|
61권 1호 |
|
77권 0호 |
|
38권 1호 |
|
82권 0호 |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
2022권 1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