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Parent’ Participation Activities on the Parents’ Trust in Daycare Center and Nursery Teacher
10.36431/JPE.13.1.5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부모참여활동이 부모의 기관신뢰 및 교사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 소재 어린이집의 학부모 284명을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가 인식한 어린이집 부모참여활동 수준은 5점 만점에 평균 3.72점으로 중간정도로 나타났다. 부모의 기관신뢰와 교사신뢰 수준은 양호하나 기관신뢰보다 교사신뢰 수준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가 인식한 어린이집 부모참여활동, 기관신뢰, 교사신뢰 수준은 자녀와의 관계, 어린이집의 유형, 열린 어린이집 운영 여부, 부모참여활동 참가 횟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가 인식한 어린이집 부모참여활동 수준이 기관신뢰와 교사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모참여활동 중 ‘의사결정의 참여’ ‘역량 경화를 위한 교육’ ‘어린이집과 가정의 연계 활동’ 이 기관신뢰에, ‘참여 활동의 일상성’ ‘운영의 융통성’이 교사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 부모참여활동이 부모와 어린이집, 보육교사 간 보육 파트너로서의 신뢰 관계를 형성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객관적으로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ctivation level of parent' participation activities on the parents' trust in Daycare center and nursery teacher. For this reason, a self-reporting survey was conducted on 284 parents of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tivation of parent' participation activities in Daycare centers" as recognized by parents was at an average of 3.72 out of 5. Parents have good trust in Daycare center and nursery teacher, but trust in nursery teacher is relatively higher than trust in Daycare center. Second, the level of Parents‘ participation activities in Daycare centers, trust in Daycare centers, trust in nursery teache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the type of Daycare center and whether or not they had Open Daycare Center. Thirdly, it was found that the activation of parents' participation activities recognized by par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trust in Daycare center and nursery teacher. Particularly, the activation of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education for parent's capacity development," and "family linkage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rust in Daycare center, and "everydayness of participatory activities" and "flexibility of manage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rust in nursery teacher.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objectively find out that activation of parent’ participation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building trust as a child care partner between parents and Daycare centers and nursery teacher.
I410-ECN-0102-2022-000-000599500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
25권 1호 |
|
43권 2호 |
|
16권 2호 |
한국수학교육학회 뉴스레터 |
38권 3호 |
|
61권 2호 |
|
5권 1호 |
|
42권 3호 |
|
15권 2호 |
|
29권 2호 |
|
35권 2호 |
|
21권 2호 |
청소년과 효문화 |
38권 0호 |
|
69권 0호 |
|
29권 2호 |
|
31권 2호 |
|
73권 0호 |
|
28권 2호 |
|
13권 2호 |
|
23권 1호 |
|
65권 2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