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가 보육실습에서 경험한 실습지도교사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그 관계의 경험에서 드러난 의미를 밝혀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예비보육교사들이 작성한 반성적 저널을 분석하였다.
예비보육교사가 보육실습에서 경험한 지도교사와의 관계 속 어려움은 ‘다가가기 어려움’, ‘주체적이지 못한 나’, ‘나는 외부인’, ‘내가 싫은 건가’였다. 이러한 경험 속에서 드러난 실습생과 실습지도교사와의 관계의 의미는 ‘관계 속에서 나 성찰하기’, ‘나에게서 지도교사 보기’, ‘가깝게 느끼기’, ‘가르침 받기’, ‘스스로 배우기’, ‘함께 만들어가기’, ‘미래의 동료교사 꿈꾸기’ 로 드러났다. 본 연구결과는 예비보육교사들이 실습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실습지도교사와의 관계를 이해하고 그에 대한 적절한 교육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서 활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pre-service teachers' relationships with director-teachers based on their experience during the practicum in child care centers to discuss the significance and analyzed the reflective journals prepared by pre-service teachers for the purpose.
The difficulties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in relation to the direct teachers during the practicum included ‘difficulty approaching’, ‘lack of spontaneity’, ‘being an outside member’, and ‘feeling of dislike’. The significance of relationships between pre-service teachers and director-teachers was defined as ‘examination of myself within the relationship’, ‘seeing a reflection of the director-teacher in me’, ‘the person closest to me during the practicum’, ‘the person who teaches me’, ‘the person who allows me to learn’, ‘reciprocated relationship’, and ‘future co-worker’. The findings of the study would be used to provide basic resources to understand the pre-service teachers' relationships with director-teachers during the practicum in child care centers and to provide helpful training measures.
UCI(KEPA)
I410-ECN-0102-2022-000-000599484
간행물정보
: 사회과학분야 > 교육
: KCI등재
:
: 계간
: 2092-5743
:
: 학술지
: 연속간행물
: 2009-2022
: 364
저작권 안내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