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4.56.127
18.224.56.127
close menu
KCI 등재
방언 어휘 ‘숭악하다’의 의미 분화
The Differentiation of the Meaning of 'Sung-ag' in Dialectic Vocabulary
박지은 ( Park Jieun )
방언학 32권 125-154(30pages)
DOI 10.19069/kordialect.2020.32.125
UCI I410-ECN-0102-2022-700-000270070

방언은 지역의 정신과 문화가 담긴 언어이다. 한 방언 어휘가 동일한 형태로 통용되고 있으나, 지역별로 의미가 분화되어 사용된다면 그 의미는 지역의 문화와 특성이 담겨 있는 증거가 된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현상에 대해 주목하여 연구하고 고찰할 필요성이 있다. 이 연구는 방언 어휘 ‘숭악하다’의 의미가 표준어 대응 어휘인 ‘흉악하다’보다 약화된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고 그 의미가 지역별로 분화되어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의미 분화 원인에 대한 가설을 세워 형태가 동일한 어휘임에도 불구하고 지역마다 다른 의미로 분화된 원인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숭악하다’는 일부 지역에서 긍정적인 사용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모순어적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부정적인 의미 또한 의미 분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맥락과 상황에 따라 의미가 분화된 것과 지역적 정서에 의하여 의미적 혼태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는 지역별 의미 분화 현상과 그 원인에 대한 고찰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한 그간의 연구에서 이에 대한 논의를 시도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Dialect is a language that contains the spirit and culture of the region. Although the vocabulary is used in the same form, if the meaning is differentiated and used for each region, the meaning becomes evidence that contains the cul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Therefore,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se phenomena to study and consider.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meaning of ‘Sung-ag’ is used as a weakened meaning than the vocabulary corresponding to the standard word, ‘Hideous,’ and confirmed that the meaning is used in different regions. In addition, a hypothesis about the cause of semantic differentiation was established and attempted to examine the cause of the differentiation of different meanings in different regions despite the same vocabulary. 'Sung-ag' has a contradictory character, as positive usage appears in some regions, and negative meanings also show a pattern of meaning differentiation. In this study, it was interpreted that the meaning wa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context and situation and that it was caused by semantic confusion by regional emotion. This is meaningful in that the discussion on the phenomenon of semantic differentiation by region and its cause has not been actively conducted in previous studies.

1. 서론
2. ‘숭악하다’의 사용 양상
3. ‘숭악허다’의 의미 분화 원인
4. 결론
참고 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