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phor Analysis of Student-Athletes’ Perception of COVID-19 Experience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를 경험한 학생선수의 인식을 은유(metaphor)분석의 방법을 통해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중.고교 선수 87명과 대학선수 11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활용한 은유 질문과 일상, 학업, 훈련, 미래 진로 영역으로 구성된 개방형 설문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은유분석에 근거한 은유 범주에 따라 개방형 설문의 영역별 답변을 귀납적 내용분석으로 범주화 하였다. 결과: 체계적 은유분석을 통한 분석 결과 ‘걸림돌로서의 코로나19’, ‘가보지 않은 길로서의 코로나19’, ‘사막의 오아시스 같은 코로나19’ 총 3개의 은유 범주가 도출되었다. 은유 범주를 토대로 진행한 4개 영역의 귀납적 범주화 결과는 일상과 훈련영역에서는 감염확산 방지 우려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으로 훈련 제한 및 지도자 부재에 따른 운동 의욕 감소와 체계적 훈련 불가에 대한 어려움을 공통적으로 보고하였다. 반면에 다양한 경험과 새로운 배움의 체험, 재충전을 통한 반성적 성찰의 시간, 효율적 학습과 자기주도적 훈련을 통한 긍정적 정서 체험은 코로나19를 의미있는 사건으로 인식하였다. 결론: 은유분석을 통한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학생선수의 경험은 훈련 제한과 출전기회 상실에 따른 미래 진로의 불안, 학습환경의 변화 등을 주요 어려움으로 인식하였다. 하지만 위기 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을 습득하고, 운동 이외의 새로운 배움의 체험 기회는 긍정적 대처 경험의 시간이 되기도 하였다. 은유는 내담자의 인식과 태도를 변화시키는 중요한 역할로 이를 활용한 상담의 진행은 내담자의 감정이나 생각의 이해를 수월하게 한다. 본 연구가 스포츠 분야의 심리상담에 은유를 활용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to describe the metaphorical thinking and understand perception of Student-Athlete’s “Experience of COVID-19”. Methods: Participants are 87 middle and high school athletes and 116 colleg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open questionnaire using online. The questionnaire conducted on consisting of daily life, study, training, and future career areas and metaphor.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into inductive cont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category of metaphor based on metaphor analysis by using the grounded theory of Saban(2007). Results: Analysis through systematic metaphor analysis resulted in a total of three metaphor categories: Obstacle’, ‘The road not taken’, ‘An Oasis in the desert’. The results of inductive categorization in four areas based on metaphor categories were commonly reported in daily life and training areas. Maintain Social distancing was performed due to concerns over infection prevention, reducing exercise motivation and difficulty in systematic training due to absence of feedback. On the other hand, the experience of various experiences and new learning, the time of reflection through recharging, and the experience of positive emotions through efficient learning and self-directed training were recognized as meaningful events.. Conclusion: The student athlete's experience with the COVID-19 incident through metaphor analysis recognized the limitations of training, the anxiety of future career due to the loss of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and the change of learning environment as major difficulties. However, learning how to cope with a crisis and learning new opportunities other than exercise were also a time for positive coping experiences. Metaphors are formed on the basis of experience and serve as filters for recognition. Metaph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changing a person’s perception and attitude, and the progress of counseling using them makes it easier to understand a person's feelings or thoughts.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be used as a basis for research using metaphor in psychological counseling in the sports psychology.
I410-ECN-0102-2021-600-001299441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수록권호 |
---|---|
|
29권 1호 ~ 29권 1호 |
|
60권 2호 ~ 60권 2호 |
|
12권 1호 ~ 12권 1호 |
|
31권 1호 ~ 31권 1호 |
|
24권 1호 ~ 24권 1호 |
|
32권 1호 ~ 32권 1호 |
스포츠과학 |
154권 0호 ~ 154권 0호 |
|
30권 1호 ~ 30권 1호 |
|
24권 1호 ~ 24권 1호 |
|
56권 0호 ~ 56권 0호 |
|
9권 1호 ~ 9권 1호 |
|
60권 1호 ~ 60권 1호 |
스포츠와 해양문화 |
10권 2호 ~ 10권 2호 |
|
32권 2호 ~ 32권 2호 |
|
31권 4호 ~ 31권 4호 |
|
22권 4호 ~ 22권 4호 |
|
30권 4호 ~ 30권 4호 |
Asia Pacific Journal of Applied Sport Sciences |
1권 3호 ~ 1권 3호 |
|
38권 2호 ~ 38권 2호 |
|
13권 2호 ~ 13권 2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