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63
216.73.216.163
close menu
KCI 등재
이동주 시의 전통 미학 - 한(恨), 신명(神明), 그늘의 문제를 중심으로 -
The Traditional aesthetics of Lee Dong-Ju's Poetry - Focused on the World of Bitter Feeling, Exhilaration, and Shade -
이재복 ( Lee Jae-bok )
UCI I410-ECN-0102-2021-800-001319831

이동주 시는 정, 한, 신명, 그늘 등의 개념을 포괄하는 독특한 미학을 형성하고 있다. 그런데 이 미학은 우리의 전통적인 정서나 시가의 흐름을 반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것을 포괄하는 것이어서 ‘현대시와 전통’, ‘전통과 시인의 개성’ 같은 것을 논할 때 하나의 준거가 될 수 있다. 그의 시에서 정, 한, 신명, 그늘은 우리가 억지로 이것에 대한 개념이나 이론의 틀(型)을 만들어 도출해낸 세계가 아니다. 이것은 지식이나 이론의 습득을 통해서 시인이 성취한 것이라기보다는 자신의 삶 속에서 자연스럽게 체득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그것은 우리의 집단무의식 속에 은폐되어 있는 ‘원형(archetype)’ 같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 신명은 정의 발현에서 생성된 것들이다. 정이 내적 응축을 지향하면서 한이 맺히고, 그것을 삭이고 풀어 신명에 이르는 것이다. 그런데 정에서 한, 한에서 신명으로의 흐름을 가능하게 한 힘은 시인 혹은 “강강술래”를 추는 사람들 안에 있다. 수운 최제우는 자신이 한문으로 작성한 동학 경전인 『동경대전』(1880)에서 ‘지기(至氣)’의 문제를 제기하는데 이 개념 속에 그 답이 있다. 이때 그에게서 지기란 안으로 신령한 기운을 가진 생명(인간) 각자 각자의 자율적인 진화를 표현한 것이다. 이 지기가 바로 ‘그늘’이다. 수운의 동학사상에 기반하여 자신의 생명론과 율려론(숭고론)을 정립한 김지하는 그늘을 ‘활동하는 무(無)’로 정의한다. 우리가 판소리에서 소리꾼이 그늘을 지니기 위해 한을 맺고 그 맺힌 것을 삭이고 풀어서 신명나는 판을 벌이는 것처럼 혹은 이동주의 시가 정에서 한, 한에서 신명으로의 질적 도약을 위해 산조(삭임)와 광폭한 몸짓(강강술래)을 수행한 것처럼 어떤 미학의 성립에는 반드시 그늘의 원리가 작동해야 한다. 우리의 판소리와 이동주의 시에 드러난 이러한 그늘은 정, 한, 삭임, 신명 등을 아우르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만의 독특한 정서, 다시 말하면 한국적인 미학을 구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우리는 종종 ‘지금, 여기’에서 서정시의 존재 이유를 묻는다. 서정시가 이 음험하고 부조리한 시대에 존재해야 하는 이유는 그것이 시인의 지극한 기운에 의해 쓰인 것이기 때문이다. 만일 서정시 혹은 시에 그늘이 없다면 그것을 시라고 할 수 있을까? 이런 점에서 이동주의 시를 통해 제기한 정, 한, 신명, 맺힘, 삭임, 풀이, 멋, 공능 등의 개념과 그것을 아우르는 그늘의 개념이 우리 시의 미학을 정립하는 데 하나의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Lee Dong-Ju's poems form the unique aesthetic including the concepts such as heart, bitter feeling, exhilaration and shade. The aesthetic does not reflect only the trend of Korean traditional emotion and poetry but also include them. So it can be the standard, when 'modern poetry and tradition', and 'tradition and the poet's personality' are discussed. The heart, bitter feeling, exhilaration, and shade in his poems are not the world that people forcibly derive, making related concept or frame. It is naturally realized in his life rather than achieved through the knowledge or theory. In this regard it is like the archetype hidden in our collective unconsciousness. The bitter feeling and exhilaration were generated by manifested heart. The heart produces the bitter feeling, orienting inner condensation. And it digests and solves the bitter feeling then it comes to the exhilaration. However the power that enables the sentiments to flow from the heart to the bitter feeling and from the bitter feeling to the exhilaration is in the crowd dancing 'Gang-gang-sullae'. As Su-un Choi Jae-Woo raises a matter of concept, 'Jigi', in Donggyeongdaejeon(1880), the bible of Donghak written by himself in Chinese, there is the answer in the concept. The Jigi is the individual free evolution of human with inner holy power. It is the shade. Kim Ji-Ha, that establishes own his theory of life and sublime based on Su-un's Donghak thought, defines the shade as moving 'Mu(無)'. For example the singer in Pansori holds bitter feeling to keep the shade, and digests and solves the bitter feeling. Finally they make the fest exhilarating. Or Sanjo(Solving) and wild motion(Gang-gang-sullae) are tried in Lee Dong-Ju's poems for qualitative advancement from the heart to the bitter feeling, and from the bitter feeling to the exhilaration. Therefore when the aesthetic is established, the principle of the shade is to be operated. We ask ourselves the reason of lyric's being 'now, here'. The reason why the lyric should exist in this tricky and irrational time is that it is written by the poet's utmost power. If there is not the shade in lyric or poetry, can it be called a poem? In this regard the concept, the heart, the bitter feeling, the exhilaration, bruise, digest, solving, beauty, function and the bigger concept, the shade, proposed in Lee Dong-Ju's poetry would be the momentum in order to establish the aesthetic of Korean poetry.

1. 현대시와 전통
2. 정(情)의 발현과 시의 주름
3. 삭임과 풀이 혹은 산조와 율의 언어
4. 신명 혹은 공능(功能)의 감각
5. 그늘의 멋과 시의 지평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