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the Policy Interest Rate Change on Consumption Expenditure Through the Cash Flow Channel in Korea
Ⅰ. 서론 Ⅱ. 가계 이자수지의 변화 - 거시통계 분석 Ⅲ. 금리민감 캐시플로우와 소비지출 Ⅳ. 논의 V. 결론 참 고 문 헌
본 연구는 한국에서 통화정책의 캐시플로우 경로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정책금리 변화에 따른 여신금리와 수신금리의 변화, 이에 따른 이자수지 변화의 방향과 크기, 그리고 지급이자 및 수취이자에 대한 소비지출의 민감도를 ARDL 공적분모형, 자금순환표와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를 활용한 패널 회귀모형을 통해 추정한다. 분석 결과 정책금리의 인상에 대해서는 수신금리보다 여신금리가 더 반응하고 인하에 대해서는 반대로 나타났다. 정책금리의 인상과 인하 양경우 모두 가계의 이자수지를 축소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였다. 차입가구의 금리민감 캐시플로우에 대한 소비지출 탄력성은 저축가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정책금리 인상과 인하 모두 캐시플로우 경로만을 볼 때 소비지출을 줄이는 방향으로 작동하였다. 다만 차입가구 캐시플로우 경로와 저축가구 캐시플로우 경로가 서로 상쇄되면서 종합적으로 그 강도는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Changes in interest rates can affect household consumption expenditures through a variety of channels, including substitution effects, wealth effects, credit channel, cash flow channel, and aggregate demand channel. Most of these channels act to increase consumption expenditures when interest rates fall. But the direction of consumption change via cash flow channel is uncertain. This is because a decrease in interest rates leads to a decrease in interest payments, but also a decrease in interest receipts, and the sensitivities of consumption expenditures to interest payments and interest receipts are not the same. This study analyzes empirically the cash flow channel of monetary policy in Korea. To this end, we estimate first the change in lending rates and deposit rates and interests balance following the change in the policy rate. The ARDL cointegration model is used to analyse the asymmetric movement of bank lending and deposit rates to the change in the policy rate. The sensitivities of consumption expenditure on interest payments and receipts are estimated based on the panel regression model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the Household Finance and Welfare Surve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he lending rates responded more to the policy rate increase than the deposit rates, and inversely to the policy rate cut. Both policy rate hikes and cuts acted to reduce household interest balances. The elasticity of consumption expenditure to interest-sensitive cash flows for borrowing households was higher compared to saving households. Overall, both policy rate hikes and cuts acted to reduce consumption expenditure when looking only at the cash flow channel. However, as the borrower cash flow channel and the saver cash flow channel canceled each other, its overall strength was weak.
I410-ECN-0102-2021-300-001146604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TIP(TAX ISSUE PAPER) |
77권 0호 |
부동산분석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2022권 0호 |
|
15권 2호 |
|
38권 3호 |
충남경제 |
2022권 7호 |
|
8권 2호 |
KIRI 리포트(포커스) |
551권 0호 |
|
19권 2호 |
한국지방세연구원 연차보고서 |
2021권 0호 |
VIP Report |
740권 0호 |
한국경제주평 |
930권 0호 |
TIP(TAX ISSUE PAPER) |
76권 0호 |
주간금융브리프 |
31권 15호 |
재정포럼 |
313권 0호 |
해양한국 |
2022권 8호 |
|
45권 2호 |
저널 물 정책·경제 |
37권 0호 |
|
32권 3호 |
KIF working paper |
2022권 15호 |
한국지방세연구원 수시연구보고서 |
2022권 8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