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장유진 ( Yu-jin Jang ) , 한가록 ( Ga-rog Han ) , 이재은 ( Jae-eun Lee ) , 김선구 ( Sun-gu Kim )
발행기관 : 사회혁신기업연구원
간행물 :
혁신기업연구
7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16 (16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연구는 EU 공급망 실사지침의 원문과 (주)빈센 공동창업자와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고, 도출된 키워드를 바탕으로 (주)빈센의 대응전략을 제시한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결과 EU 공급망 실사지침은 부정적 영향이 가장 중요한 키워드로 도출되었으며, (주)빈센 공동창업자와의 인터뷰 결과 ESG가 가장 주요한 키워드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실사지침 내재화, 기업내부 조직구조 개편, 지속가능한 경영활동을 위한 R&D 투자 등을 (주)빈센의 대응전략으로 제시한다.
This study conducts keyword network analysis based on the original text of the Directive on Corporate Sustainability Due Diligence and interviews with Vinssen co-founders, and presents Vinssen's future strategies based on the derived keyword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rective on Corporate Sustainability Due Diligence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keyword network analysis, it was presented as important keywords such as adverse impact, due diligence, sustainability, global, and environmental.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with Vincenne's co-founder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SG, technological capability, eco-friendly activities, environmental, and corporate governance were presented as major keywords. Based on the results of keyword network analysis, this study presents the internalization of directive on corporate sustainability due diligence, reorganization of the internal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R&D investment for sustainable management activities as Vinssen's response strategy.
저자 : Mei-ying Niu , Man-jiang Xing , Zi-yang Liu
발행기관 : 사회혁신기업연구원
간행물 :
혁신기업연구
7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7-37 (21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가정은 생활 방식 변화의 가장 중요한 중심 중 하나가 될 것이며, 이는 스마트 홈솔루션에 대한 사람들의 지속적인 요구를 촉진할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가정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변화에 더 잘 적응하도록 촉진할 것이다. 홈서비스 로봇의 가치를 점차 인식하게 됐지만 현재 소비자 관점에서 스마트 홈서비스 로봇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실증 연구는 적다.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스마트 홈서비스 로봇의 구매의도의 영향 요인을 검증하기 위해 일반 중국인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고 정량적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제품특징, 오프라인 경험은 제품태도 사이에는 상당한 긍정적인 영향 관계가 있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제품 태도는 제품 특성, 오프라인 경험과 소비자의 구매의도 사이에 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동시에 제품 태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기반으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제품 태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기업이 소비자의 구매 결정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 스마트 홈서비스 로봇 관련 기업이 의사결정 및 마케팅 홍보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e post-COVID-19 era, the home will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centres of lifestyle change, which will not only drive the continued demand for smart home solutions, but will also drive people to better adapt to the new changes taking place in the home。Making people aware of the value of home service robots, However, there are few empirical studies on smart home service robots from a consumer persp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urchase intention of smart home service robots in the post-COVID-19 era.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a general Chinese population and a quantitative analysis was used to verify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features, offline experience and product attitude, product attitude mediates between product features, offline experience and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It also confirms that social interaction moderates the effect of product attitude on purchase intention on the foundation. This is to help companies gain a clearer understanding of consumer purchasing decisions and facilitate reference for smart home service robot related companies when making relevant decisions and marketing promotions.
저자 : 송석동 ( Song Suk-dong ) , 현병환 ( Hyun Byung-hwan )
발행기관 : 사회혁신기업연구원
간행물 :
혁신기업연구
7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39-61 (23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글로벌 경쟁 시대에서 중소기업은 혁신형 성장으로 변신이 필요하며 조직구성원의 혁신 행동을 통한 기업의 성과 창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 관리자의 코칭행동을 통해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기본심리욕구가 관리자의 코칭행동과 정서적 조직몰입을 통한 혁신행동 사이에서 영향 관계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 직장인을 대상으로 전문리서치사에 의뢰하여 설문을 진행하고 총 300부의 유효한 설문을 기초로 통계 프로그램 SPSS 24.0 와 Smart PLS 3.0을 이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관리자의 코칭행동은 조직구성원의 기본심리욕구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이를 통해 정서적 몰입,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조직몰입은 혁신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기본심리욕구는 코칭행동과 정서적 조직몰입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심리적 내재 동기를 매개로 단순 인과관계 연구를 확장하여 심층적 분석이라는 측면에서, 그리고 코칭행동의 이론 정립에 기여하고, 코칭행동을 통한 조직구성원이 혁신행동으로 중소기업의 혁신적인 성과 창출을 위한 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 the era of global competitio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need to transform into innovative growth, and corporate performance is required through the innovative actions of organizational memb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members' innovative behavior through coaching behavior of managers of SME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manager's coaching behavior and innovation behavior through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office worker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tatistical programs SPSS 24.0 and SmartPLS 3.0 based on a total of 300 valid questionnair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oaching behavior of manag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organizational members of SMEs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immersion and innovation behavior. Second,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coaching behavior and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investigated.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expands from the simple causal relationship study due to psychological intrinsic motivation, and contributes to the establishment of the theory of coaching and the point of in-depth analysi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저자 : Xing Qian , Yoo Young-myung
발행기관 : 사회혁신기업연구원
간행물 :
혁신기업연구
7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63-84 (22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2020년 코로나19 발생은 전 세계 경제의 심각한 쇠퇴를 초래하고, 산업 사슬, 공급 사슬의 순환이 저해를 받아 국제 무역과 투자의 호재가 위축됐다. 수출 주도형 경제를 떠받쳐 한국은 투자와 수출이 큰 폭으로 하락하는 등 큰 도전에 직면해 있으며 국내 제조업, 소비, 서비스업 및 일자리가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다. 현재의 글로벌 역풍과 경제 상황을 보면 동북아지역의 막대한 투자와 소비 잠재력은 한국 경제의 추락 충격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이다. 동북아 운명공동체를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는 우리에게 주어진 중요한 과제다. 이 분야의 선행연구자들은 중국과 동북아 국가, 일본과 동북아 국가의 역사문화, 국제무역 등에 대한 비교연구가 많고, 전염병 발생 기간 동안 동북아 4개국에 대한 한국의 경제무역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본 논문은 한국의 2016~2021년 국내총생산(GDP)을 분석한 뒤, 한국과 동북아에서 영향력이 가장 큰 러시아·일본·중국·몽골 4개국의 2016~2021년 양국 무역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리적 위치, 국가 자본, 기술 수준, 경제 무역 등의 측면에서 비교 분석한다. 각국의 지역특색과 경제환경에 따르면 동북아시아 각국은 생산측 우위가 뚜렷하고 소비측과 쌍무무역의 상호보완성이 강하며 지역안보와 경제무역환경이 나날이 완벽해져 완전한 지역가치사슬 '폐쇄환'을 형성하기 위한 견고한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기사는 마지막으로 연구관련 데이터와 우위열세에 근거하여 한국과 동북아 4국의 쇄빙점과 최적의 협력모델을 총결산하였다. 이 글은 국제 간 지역 협력을 촉진하고 한국과 동북아 국가의 경제 및 무역 협력 분야를 적극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종합적인 분석을 하고 향후 동북아 지역 경제 연구자들에게 참고가 되기를 희망하며 실현 가능한 방안을 제시합니다.
The outbreak of COVID-19 in 2020 led to a severe global economic recession, hindered the circulation of industrial and supply chains, and reduced the favorable environment for international trade and investment. With export-oriented economy as the pillar, South Korea is facing great challenges. Investment and export have fallen sharply, and domestic manufacturing, consumption, service industry and employment have been severely impacted. Given the current global epidemic situation and economic situation, northeast Asia's huge investment and consumption potential can effectively mitigate the impact of South Korea's economic downturn. How to build a community of common destiny in Northeast Asia is a major task facing South Korea. Earlier researchers in this field made more comparative studies on the history, culture and international trade between China and Northeast Asian countries, and between Japan and Northeast Asian countries, but less comprehensive analysis on the economic and trade between Korea and the four Northeast Asian countries during the epidemic period. This paper starts with the analysis of South Korea's GDP during 2016-2021, and then makes a comparative analysis in terms of geographical location, national capital, technological level, economy and trade based on the bilateral trade data between South Korea and Russia, Japan, China and Mongolia, which are the most influential countries in Northeast Asia, during 2016-2021.This paper makes a comprehensive analysis for promoting international and regional cooperation and actively building the economic and trade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Northeast Asian countries, and puts forward a feasible plan, hoping to provide some reference for the future Northeast Asian regional economic research scholars.
저자 : 이지석 ( Ji-seok Lee )
발행기관 : 사회혁신기업연구원
간행물 :
혁신기업연구
7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85-101 (17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연구는 벤저민 그레이엄이 <현명한 투자자>에서 언급한 '미스터 마켓'의 개념과 이미지를 기호학적 관점에서 미국의 증권거래소인 '월 스트리트'를 대상으로 만든 영화의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그레마스의 행동자 모델과 기호사각형 모델로 영화 <월 스트리트, 1987>와 <작전, 2009>를 비교 분석했다. 이와 같이 영화 <월 스트리트>와 <작전>에서 행동자 모델에서 상반된 입장이 나타나는 것은 미국의 금융시장과 한국의 금융시장에서 발생하는 서로 다른 주제의식을 다루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월 스트리트>의 금융시장의 속성과 주체와 반주체 간의 갈등상황을 풀어가는 방식이 '할리우드의 권선징악'을 구조를 지니고 있었다면, <작전>은 할리우드 방식을 차용했지만 한국의 금융시장에서 발생한 '작전주'라는 현상을 다루고 있었다는 점에서 한계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금융시장에서는 벤저민 그레이엄의 '미스터 마켓'이 언제든지 투기꾼 대 투자자 형식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반복적인 현상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ncept and image of 'Mr. Market', which Benjamin Graham mentioned in < The Intelligent Investor >, was analyzed from a semiotic point of view to the image of the film targeting the US stock exchange, 'Wall Street'. The films < Wall Street, 1987 > and < The Scam, 2009 >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Greimas's actor model and semiotic square model. In this way, the conflicting views of the actor model in < Wall Street > and < The Scam > may be because they deal with different thematic consciousness occurring in the US financial market and the Korean financial market. If the nature of the financial market in < Wall Street > and the method of resolving the conflict between the subject and the anti-subject had the structure of 'Hollywood's good and evil', < The Scam > borrowed the Hollywood method, but it was 'the' that occurred in the Korean financial market. There was a limitation in that it was dealing with the phenomenon of 'Operation Week'. Therefore, in the financial market, you will experience a repetitive phenomenon in which Benjamin Graham's 'Mr. Market' appears and disappears in the form of speculators versus investors at any time.
저자 : 김은영 ( Kim Eunyoung ) , 장동식 ( Chang Dongsik )
발행기관 : 사회혁신기업연구원
간행물 :
혁신기업연구
7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03-120 (18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기후변화와 위기의 심화에 대응하고자 세계 제국들은 국제환경협정을 체결하고, 각국에서 탄소가격제의 도입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의 규제를 강화함에 따라 기업의 탄소중립을 위한 적극적 대응이 필수인 경영환경이 조성되었다. 이로 인해 많은 기업들은 지속가능경영과 ESG 경영의 강화를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소기업은 자발적 탄소 감축을 실현 및 선도하기 위해 탄소자산의 개발 및 확보가 필수적인 상황에 직면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탄소자산 개발 및 확보방안으로 내부탄소세 제도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내부탄소세(Internal Carbon Pricing)는 기업에서 발생되는 온실가스나 탄소배출에 대해 금전적 가치를 부여하는 기업의 내부화과정을 의미하고, 주로 기업의 운영비용에 탄소배출의 관련 비용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탄소자산 확보 필요성과 확보 수단으로서 내부탄소세의 특성을 살펴보고, 내부탄소세의 도입현황과 마이크로소프트(MS)의 운영사례 분석을 통한 중소기업의 내부탄소세 도입방안을 제시했다. 먼저 중소기업의 내부탄소세 도입에 앞서 탄소중립 ESG 경영 목표와 전략을 수집한 후 MS가 제시한 5단계 내부탄소세 모델을 근거로 중소기업의 내부탄소세 도입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내부탄소세 도입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중소기업의 탄소중립경영에 대한 실무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갖는다. 또한 중소기업의 ESG 정보공개의 참여에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In order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and the deepening crisis, world countries signed international environmental agreements. Since then, each country has strengthened regulations on greenhouse gas emissions by introducing a carbon price system. Accordingly, a business environment was created in which companies must actively respond to carbon neutrality. For this reason, many companies are seeking to strengthen sustainable management and ESG management. In this situation, SMEs face a situation where it is essential to develop and secure carbon assets to realize and lead voluntary carbon reduction. This study proposed the introduction of an internal carbon pricing system as a way to develop and secure carbon assets for SMEs. Internal Carbon Pricing is a monetary value given to greenhouse gas or carbon emissions generated by a company, which refers to the internalization process of a company. It is mainly operated by adding the related cost of carbon emissions to the operating cost of a company. This study examined the necessity of securing carbon assets of SM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al carbon pricing as a means of securing them. In addition, a plan to introduce an internal carbon pricing for SMEs was suggest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introduction of an internal carbon pricing and the operation cases of Microsoft. First, it was considered that carbon-neutral ESG management goals and strategies should be collected prior to the introduction of an internal carbon pricing for SMEs. In addition, based on the five-stage internal carbon pricing model proposed by MS, a plan to introduce internal carbon pricing for SMEs was proposed. This study has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suggested the practice of carbon-neutral management of SMEs by presenting a plan to introduce an internal carbon pricing for SMEs. It also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in that it contributed to SMEs' participation in ESG information disclosure.
저자 : Fang Yuan-han , Cao Lu-hao
발행기관 : 사회혁신기업연구원
간행물 :
혁신기업연구
7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21-140 (20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5G'의 발전과 컴퓨터 기술의 점진적 성숙으로 가상현실 기술(VR 기술)도 기업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점점 더 많은 산업들이 VR 박물관, VR 안전 교육, VR 관광 등과 같은 VR 기술을 채택하고 있다. VR 기술은 쇼핑에서 발전해야 하지만, 새로운 기술의 적용은 확실히 전통적인 마케팅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마케팅과 기술의 통합도 잠재적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호기심을 높일 것이다. 게다가, VR 기술의 출현은 우리가 광고와 마케팅의 전통적인 역사에 작별을 고할 것을 의미한다. VR 마케팅 모델은 VR 자원을 공유하고 소비자 경험과 브랜드 품질을 업그레이드하는 새로운 시대이다. 중국에서 알리바바는 VR 기술 연구를 통해 스마트 리테일 시대에 신선한 피를 주입하기 위해 VR 리서치를 설립했다. 동시에, 이것은 제품과 서비스 향상뿐만 아니라, 더 중요한 것은 브랜드의 품질을 강조함으로써 제품에서 서비스로 공유하는 경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식된 유용성, 인식된 사용 편의성, 인식된 위험성 및 태도(TAM 이론적 모델) 측면에서 소비자의 의도를 논의할 것이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Python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처리하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온라인 쇼핑에 VR 기술을 사용할 때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며 향후 쇼핑에 VR 쇼핑 모드를 사용할 의사를 표명한다. 또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VR 기술의 1차적인 목표는 소비자들이 VR 기술을 더 신뢰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제품의 진정성을 더 잘 복원하는 것이라고 믿는다. 그래야 소비자와 기업이 더 강력한 통합을 이룰 수 있다. 온라인 쇼핑에서 VR 기술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얻기 위해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5G" and the gradual maturity of computer technology, virtual reality technology (VR technology) is also receiving attention from enterprises. More and more industries are adopting VR technology, such as VR museums, VR safety education, VR tourism, and so on. While VR technology should develop in shopping, the application of the new technology will certainly have a huge impact on traditional marketing. The integration of marketing and technology will also attract the attention of potential consumers and increase curiosity. In addition, the emergence of VR technology means we will say goodbye to the traditional history of advertising and marketing. the VR-marketing model is a new era of sharing VR resources and upgrading consumer experience and brand quality. In China, Alibaba will have set up VR research say to inject fresh blood into this era of smart retail through research on VR technology. At the same time, this is not only about product and service enhancement, but more importantly, a sharing economy from product to service by highlighting the quality of the brand. This study will discuss consumer intentions in terms of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convenience, perceived risk, and attitude (TAMtheoreticalmodel). And this paper uses Python to analyze and process the data to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most people have a positive attitude when using VR technology for online shopping and express their willingness to use VR shopping mode for future shopping. Most people also believe that the primary goal of VR technology is to better restore the authenticity of products so that consumers will trust VR technology more and utilize it. It is then that consumers and businesses can have a stronger integration. To get some theoretical basis for VR technology in online shopping.
저자 : 조성진 ( Seong-jhin Joh )
발행기관 : 사회혁신기업연구원
간행물 :
혁신기업연구
7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41-155 (15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코칭이 삶의 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J 대학교 재학생 34명이고, 연구는 병렬적(동시적) 통합방법설계에 따라 수행되었다. 실험군에게는 1인당 총 4회기(60분 내외/회기)의 코칭을 진행했고, 대조군에게는 코칭을 제공하지 않았다. 코칭 전후에 두 변수에 관한 양적 자료와 연구대상자들이 작성한 소감문을 동시에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칭은 삶의 만족도 수준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둘째, 코칭은 진로준비행동 수준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본 연구결과는 코칭연구의 폭을 확장했다는 점과 인적자원개발 및 관리에 적용할 수 있는 코칭의 유용성을 다시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coaching on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 college students from J University in Korea, and the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a parallel/simultaneous mixed method design. Quantitative data were obtained through a survey on two variables before and after coaching class, and the testimonials written by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coaching were simultaneously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aching improved the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t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Second, the coaching improve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tudents t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저자 : 윤덕병 ( Deok Byeong Yoon )
발행기관 : 사회혁신기업연구원
간행물 :
혁신기업연구
7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57-169 (13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최근 사람들 사이에서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반려동물을 양육하는 인구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2022년에는 우리 대한민국의 인구 5,000만 명 중 1,500만 명이 반려동물을 양육하는 시대에 이르고 있다. 우리나라의 핵심문제인 저출산 · 고령화 현상 및 1∼2인 가구의 증가로 인해 반려동물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반려동물에 관한 현재 실태와 규범을 검토하고 나아가 반려동물의 서비스 산업의 활성화를 검토하도록 한다.
Recently, with heightened interest in companion animals rising among people recently, the population breeding companion animals is also continuously increasing. Year 2022 has witnessed the age of 15 million out of the 50 million Korean population breeding companion animals. Demand for companion animals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phenomenon and the increase in one or two-person households, both of which are key problems in Korea. Therefore, in this thesis, the current status and norms of companion animals are reviewed, and further revitaliz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service industry is reviewed.
저자 : 변승환 ( Seung-hwan Byun ) , 김문성 ( Mun-sung Kim ) , 강종규 ( Jong-gyu Kang )
발행기관 : 사회혁신기업연구원
간행물 :
혁신기업연구
7권 3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71-186 (16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국방드론 관련 군의 기술의 개발현황, 연구기관, 방산기업체 및 중소벤처기업, 대학의 R&D 현황에 대하여 조사하고 국방드론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보다 체계적인 인력양성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를 위하여 산·학·연·관 '대전드론방산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지역 드론산업 활성화를 위한 클러스터내 지역중소벤처기업의 역할과 교육기관의 역할을 제시한다.
또한 드론산업 인력의 양성을 위한 드론훈련센터 등의 구축 및 운영을 제안하며 마지막으로 드론산업 맞춤형 인력양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status of defense drone-related military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s, defense companies, small and medium-sized venture companies, and universities, and emphasizes the need to cultivate more systematic manpower to revitalize the defense drone industry. To this end, the Daejeon Drone Defense Cluster is established, and the role of local small and medium-sized venture companie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cluster is presented to revitalize the local drone industry. It also proposes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drone training centers to foster drone industry personnel, and finally proposes a customized manpower training plan for the drone industry.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