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232.154
3.20.232.154
close menu
KCI 등재
사극드라마 의상의 비교 연구 - 정통사극 ‘정도전’과 퓨전사극 ‘육룡이 나르샤’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stume of Historical TV Dramas - focused on authentic historical drama 'Jeong Do-jeon' and fusion historical drama 'Six Flying Dragons' -
신다혜 ( Da-hye Shin ) , 나현신 ( Hyunshin Na )
한국디자인포럼 66권 53-64(12pages)
UCI I410-ECN-0102-2021-600-000440135

연구배경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시대 배경을 바탕으로 한 TV 사극드라마의 장르별 의상 차이에 관한 비교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며, TV 사극드라마의 장르를 분류하고 각 드라마의 의상 사례를 수집, 분석하여 TV 사극드라마의 의상의 디자인 경향을 도출하고 장르별 차이점을 비교 분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먼저, 단행본, 선행연구, 온·오프라인 기사 등을 중심으로 문헌적 고찰을 바탕으로 사극드라마의 분류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다음으로, 시각·실물 자료의 수집·분석과 방송국 의상팀 디자이너로 근무했던 연구자의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한 실증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두 작품 모두 형태적인 측면에서는 14C 여말 선초 복식 구조의 틀을 따랐으나, 의상의 형태, 색상, 소재, 문양, 장신구 등에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한 것을 알수 있었다. 또한, 정통사극 ‘정도전’이 퓨전사극 ‘육룡이 나르샤’보다 고증을 잘 반영한 것으로 평가되었는데, 이는 역사적 사실을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며 실존 인물이 주로 등장하는 정통사극의 특성상 전통의상의 과감한 변형이 어렵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결론 이처럼 적절한 현대적 해석을 통해 완성도 높은 의상을 제작하고자 하는 시도들은 TV 사극드라마 의상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며, 사극드라마 의상이 독립된 예술 작품으로 인정받게 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Background In this study, we want to conduct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fferences in costumes of TV historical dramas based on the same period background, and we aim to draw design trends of TV historical dramas by categorizing the genres of TV historical dramas and collecting and analyzing cases of costumes for each drama and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genres. Methods First, a theoretical study was conducted on the classification of historical drama based on a literary review focusing on the book series, the preceding study, and the articles on and off line. Next,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visual and real-life data and the hands-on experience of a researcher who worked as a designer for a broadcasting station’s costume team. Result In terms of form, both works followed the costumes in the Late 14th century Goryeo Dynasty and early Joseon Dynasty, but they were found to have attempted various changes in the form, color, material, design and jewelry of the costumes. In addition, orthodox historical drama ‘Jeong Do-jeon’was evaluated to reflect historical fact better than fusion historical drama ‘Six Flying Dragons’,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importance of conveying historical facts and the fact that it is difficult to drastically change the traditional costume due to the nature of orthodox historical drama in which the actual figure is mainly featured. Conclusion Attempts to produce clothes with high completion through such an appropriate modern interpretation will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V historical drama costumes and contribute to making them recognized as independent works of art. Keyword

1. 서 론
2. 사극드라마의 분류
3. 사극드라마 의상의 사례분석
4. 정통사극과 퓨전 사극드라마 의상의 비교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