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4.56.127
18.224.56.127
close menu
KCI 등재
<단심가>와 <하여가>의 형성 시기 - 역사화를 통한 시조 대중화의 한 부면 -
The Period of Formation of "Dansimga" and "Hayeoga" : A Side of Popularization of Sijo through History
김진희 ( Kim Jinhee )
한국시가연구 49권 105-141(37pages)
UCI I410-ECN-0102-2021-800-000453716

이 글에서는 <단심가>와 <하여가> 관련 문헌들의 상한 연대를 검토하고, 두 작품이 당대의 역사적 배경과 가악 문화, 그리고 시가 작품들의 영향 속에서 형성된 과정을 살펴본다. <단심가>와 <하여가> 및 그 배경설화를 실은 가장 오래된 문헌은 17세기 전반 심광세가 지은 「해동악부」이며, 믿을 만한 <단심가>의 수용 기록 또한 16세기 후반 이후가 되어서야 나타난다. 또 <단심가>의 국문 형태는 <중대엽>의 가사로 문헌에 처음 나타나며, <중대엽> 악곡이 성립된 시점 또한 16세기 중반 무렵이다. 작자 기록 없이 最古의 <중대엽> 가사로 전하는 <단심가>는 <중대엽> 악곡의 등장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형성된 작품으로 짐작되며, 선초 악장인 <감군은> 및 고려가요 <정과정> 등의 영향 속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파악된다. <하여가> 역시 작품의 내용과 형식이 16세기 중반 작품인 <도산십이곡>의 직접적인 영향을 보여주며, 「해동악부」소재 <하여가> 이본의 ‘성황당’ 관련 어구는 동시기 있었던 개성 신당 방화 사건과 연관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단심가>와 <하여가>의 형성 시점은 그것의 수용기록이나 영향을 받은 작품들, 그리고 특정 표현에 관련한 역사적 맥락 등을 종합해 볼 때, 대체로 16세기 중후반으로 집중된다. 그런데 이때는 정몽주가 문묘에 종사된 이후 그를 기리는 세 군데의 사액서원이 건립되어 정몽주의 숭배과정이 완성된 시점이기도 하다. 이러한 시기적 일치상은 <단심가>와 <하여가> 이야기가 선죽교 전설과 마찬가지로, 정점에 오른 정몽주의 숭배화 작업을 대중적으로 더욱 확산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만들어진 산물임을 시사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upper dates of the works of literature related to "Dansimga" and "Hayeoga", and examines how the two works were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contemporary history, music culture, and poems. The oldest literature containing "Dansimga" and "Hayeoga" and its background narrative is Haedongakbu by Sim Gwangse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and the credible "Dansimga" acceptance record also appeared after the late 16th century. The Korean form of "Dansimga" first appeared in the literature as the lyrics of "Jungdaeyeop", and the time when the "Jungdaeyeop" music was established was in the mid-16th century. "Dansimga", which is written in the lyrics of the oldest "Jungdaeyeop" version without any record on the author, is thought to be a work formed in close connection with the appearance of the "Jungdaeyeop" music. "Hayeoga" also shows the direct influence of "Dosansibigok", a work in the mid-16th century. In addition, the phrase "seonghwangdang" in it is presumed to have been associated with the shrine arson incident in Kaesong at that time. Thus, the point of formation of "Dansimga" and "Hayeoga" is generally concentrated in the middle and late 16th centuries when combining its acceptance records, influenced works, and historical contexts related to a specific expression. This is also the time when Jeong Mongju's worship process was completed by the establishment of three seowon halls in honor of him. This temporal consensus suggests that the stories of "Dansimga" and "Hayeoga", like the seonjukgyo legend, are the product of the intention to further spread the cult of Jeong Mongju, which was at its peak.

1. 서론
2. 문헌 검토
3. <단심가>와 조선 전중기 악장의 맥락
4. <하여가>의 형성 과정
5. 결론
□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