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Operation Status of General High School Informatics Curriculum
Ⅰ. 서 론 Ⅱ. 관련 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 고 문 헌
컴퓨팅 사고력을 토대로 문제를 바라보고 접근하는 것은 학생들이 미래사회를 살아가는데 필수적인 역량으로 정보교육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일반선택과목이 된 정보과목에 대한 운영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정보교육의 효과를 높이는 데 기여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해 2015-2016년 시기의 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학생 5명, 정보교사 5인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정보과목의 운영시기, 운영내용, 운영방법, 그리고 평가방법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보과목의 운영은 1학년 2학기부터 3학년 2학기 까지 매우 다양하였다. 수업 방법은 강의형이 가장 많았으나, 3학년 2학기에는 자습에 대한 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학습 내용은 전체내용을 모두 배우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에서는 교과서의 사용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보과목 수업이 다른 입시과목 제외 과목들과 유사하게 교육과정을 준수하는 형태로 진행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처음으로 정보과목의 운영 현황을 분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Viewing and approaching problems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can be improved through informatics education, which is essential for students to live in a future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eration status of informatics subjects that have become general elective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o contribute to enhancing the effect of future informatics subject. To achieve this goal,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400 students who graduated from high school in 2015-2016, and five students and five informatics subjects teachers were interviewed. Operation period of Infomatics subject, contents, method and evaluation method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operation of informatics subjects varied greatly from the second semester of the first year to the second semester of the third year. The most common method was teaching type, but the percentage of self-study was high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third year. The contents of the study did not learn all the contents, and the use rate of textbooks was low in the clas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informatics subject class did not proceed in the form of observing the curriculum similarly to other subjects excluded. It is also significant that for the first time, the operational status of informatics subjects was analyzed.
I410-ECN-0102-2021-500-000546411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
8권 2호 |
|
8권 1호 |
|
13권 3호 |
|
13권 2호 |
|
7권 4호 |
|
7권 3호 |
|
13권 1호 |
|
7권 2호 |
|
7권 1호 |
|
6권 3호 |
|
12권 2호 |
|
45권 3호 |
|
45권 2호 |
|
6권 2호 |
|
12권 1호 |
|
6권 1호 |
|
45권 1호 |
|
11권 2호 |
|
5권 3호 |
|
44권 2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