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63
216.73.216.163
close menu
KCI 등재
무용전공 대학생의 열정과 정서경험의 관계에서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ssion and Emotional Experiences among Collegiate Dance Students
최효진(HyoJinChoi) , 이해준(HaiJoonLee)
UCI I410-ECN-0102-2021-600-000158187

이 연구는 무용수업 상황에서 대학생들의 자기 효능감이 무용에 대한 열정과 정서경험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무용학과 남녀 대학생 506명(남자=37명, 여자=469)이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회귀분석의 결과는 무용에 대한 조화열정과 강박열정 모두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자기 효능감과 긍정적 부정적 정서를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조화열정은 직접적으로 자기 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주며, 그 결과 자기 효능감을 경유해 긍정적 정서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들의 무용에 대한 강박열정은 자기 효능감에 직접 영향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자기 효능감을 통해 긍정적 정서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 결과는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무용에 대한 열정이 긍정적 부정적 정서를 유발하지만, 무용에 대한 열정과 긍정적정서 간의 관계는 자기 효능감 수준에 의해 부분적으로 매개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roles of self-efficacy in the collegiate dance students` passion for dance and emotional experiences in a dance class. Subjects were 506 male and female dance students (37 males, 469 female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conducted.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s indicated that both harmonious and obsessive passions positively predicted collegiate dance students` self-efficacy and emotions.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harmonious passion for dance directly had a positive effect on dance students` self-efficacy, which in turn positively influenced to students`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Also, obsessive passion for dance directly influenced to students` self-efficacy, which in turn had a indirect effect on students`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These findings show that two forms of passion for dance can facilitate dance students`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during dance classes, but students`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ssion for dance and positive emotion.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