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무용단의 특성에 맞는 타당한 서비스품질 측정척도가 필요하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무용관객이 지각하는 무용단의 서비스품질요인을 찾아내고 측정 가능한 척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문항분석을 검토한 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7요인으로 분류된 총 35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진 무용단 서비스 품질 척도를 개발한 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후 최종적으로 무용단의 서비스 품질 측정을 위한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후 개발된 척도로 예측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무용단의 서비스품질 구성요인으로 (신뢰성, 응답성, 공감성, 편리성, 시설, 예술성, 부가적 혜택) 7요인으로 구조화되었으며, 적합도 지수(GFI, RMR RMSEA, CFI, NFI)는 모두 최적치 기준을 만족시켜 타당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무용단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구체적인 측정을 가능케하여 무용관객을 개발하는데 좀 더 효과적이고 현실적인 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asurement scale of service quality for dance company. this proposed scale of service quality for dance company has been empirically tested with 386 sample subjects, verifying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measurement scale as well as conduct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se elements again were developed into 35 items under a total of 7 component categories according to the dance performance and variables in consideration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dance performance as a field of culture and art. The scale of service quality for dance company is based on the seven underlying dimensions: Credibility, Responsiveness, Empathy, Accessibility, Physical evidence, Artistic value, and Unexpected benefits. The study will make contributions to academic achievement of service quality for dance company as well as marketing in terms of exploring differentiation strategy for the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