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67
216.73.216.167
close menu
KCI 등재
체육계열학과의 전문성 제고 방안
A Plan for Enhancing the Expertise of Sport/Physical Education-Related Departments in Universities
임태성(TaeSeoungLim) , 박재우(JaeWooPark)
UCI I410-ECN-0102-2021-600-000193866

본 체육계열학과의 전문성 제고 방안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체육학을 탐구하는 체육계열 학과는 이론과 실기의 통합인 특수성과 학문과 실기의 분화와 통합이라는 조화를 통해 독립성이라는 가치를 지향하면서 실용성, 활동중심성 그리고 현장중심성이라는 방향성을 가짐과 동시에 스포츠과학의 본질의 회복과 정립을 추구하고, 이때 사회변화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이때 학문으로서 그리고 학과로서의 스포츠과학이 미래사회의 스포츠 직업에 필요한 전문지식과 전문가를 생산 및 육성해 낼 수 있도록 미래지향적이어야 할 것이다. 즉, 고령화 사회, 행복추구권(법제화), 유비쿼터스 사회(U-헬스케어)로 총칭되는 미래 트렌드는 현재 체육계열 학과에 주어진 도전이자 기회이다. 체육계열 학과의 전문성 제고의 관점에서 우리에게 주어진 시대적 환경은 입시제도의 유기적 변화, 학제간 융합과 통섭을 위한 통합, 이에 따른 교과과정의 개편을 통해 미래사회의 직업 트렌드가 요구하는 전문적 체육인을 육성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A plan for enhancing the expertise of sport/PE-related departments in universities is as follows: Sport/PE-related departments studying physical education should seek a value of independence, have a direction of practicality, an activity-oriented nature and a field-oriented nature and pursue the essence and of sport science through the balance between the specialty of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nd the specialization and integration of them. Then they should keep up with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Sport science as a study and/or department in universities should be aimed at a future-oriented notion in order to produce expert knowledge to meet sports jobs of society in the future and nurture professionals. In other words, an aging society, the right to pursue one's happiness (legislative proceedings) and a ubiquitous society (U-Health care) as a future trend are currently a challenge and an opportunity given to domestic sport/PE-related departments. In terms of the enhancement of the expertise of sport/PE-related departments, the needs and circumstances of the times given to us are an organic change of college admission system, consilience and union between the various scientific sub-disciplines. Accordingly, we should establish a system for nurturing sports professionals to meet the future society’s job trend through reform of the collegiate curriculum.

서론

체육계열학과를 둘러싼 환경: 국내외 대학평가제도와 체육계열 학과의 유관성

4개국 체육계열 단과대학 및 학과(학위과정 프로그램)의 명칭 및 전공체계 비교

국내·외 체육계열 대학의 구조 통합 및 학문 융합 사례

체육계열학과의 전문성 제고 스케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