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글춤의 완결편인「훈민정음 보물찾기」의 극적구성과 표현의 구체성이 현대무용의 상징적 에너지와 다양한 움직임의 추상성으로 재구성되어 공연되어지는 의미를 분석하고 그 제작과정에서 나타난 안무특성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한글춤의 특성을 이해하기 문헌연구를 시도하였고, 실제 공연제작에서 나타난 안무구성의 특성은 안무자와의 면담과 구체적인 사례제시를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훈민정음 보물찾기」는 한글이미지에 대한 시·공간적 인식의 재발견과 새로운 형태의 창의적 해석이 스토리텔링을 통해 완성도 높은 문화 상품으로서의 한글춤을 창작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한글춤「훈민정음 보물찾기」는 단순히 춤만이 아닌 무대적 요소들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창조되는 종합예술로 한글창제의 기본원리를 작품창작의 바탕으로 삼아 미적 가치의 재발견을 통해 제작목적과 작품분석의 특성에 따라 한글춤 판타지라는 장르로 새롭게 창작되었으며, 향후 고부가가치를 창출해 내는 국가 브렌드화 된 콘텐츠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how dramatic composition of Hangeul dance ``Hunminjeongeum treasure hunt’’ and concreteness of expression were reorganized and performed as a symbolic energy of modern dance and abstractness of various movements and suggest the features of choreography appearing in the processes of production. As the methodology of the study, a literature-based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Hangeulchum and the features of choreographic organization shown in the actual performance production were analyzed by presenting detailed cases. The study has revealed, first, in `Hunminjeongeum treasure hunt,’’ rediscovery of time and space awareness about Hangeul images and new types of creative interpretation have work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creating Hangeulchum as a high quality cultural product through storytelling. Second, is a comprehensive art created by organically combining with stage factors, not a simple dance; newly created as a genre of Hangeul Fantasy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work analysis through rediscovery of aesthetic values based on the basic principles of Hangeul creation; has the potential to develop into the contents of a national brand which will create high -added value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