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5.220.219
3.135.220.219
close menu
KCI 등재
종결형(終結形)의 변화(變化)와 근대적(近代的) 문체(文體)
Change of sentence-final forms and modern writing style of Korean narratives in the early 20th century
이지영(李知英) ( Lee Ji-young )
어문연구 47권 3호 5-27(23pages)
UCI I410-ECN-0102-2021-700-000268430

본고는 20세기초에 나타난 근대적 문체의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종결형의 변화를 논의 하였다. 특히 한국어학의 입장에서 그간의 한국문학 및 문체론의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문체론의 연구에서 다양한 분야의 논리와 관점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본고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라’와 ‘-다’는 이형태(異形態) 관계인 형태들로서 문장 종결이라는 동일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이들 형태의 의미·기능이 달라서 전근대적 문체의 특징과 근대적 문체의 특징을 각각 드러내는 것으로 오해해서는 안 된다. 둘째 소위 ‘-라’체와 ‘-다’체로 언급되는 문체 유형은 이질적인 특징을 가지는 종결형들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종결형의 의미·기능에 대한 엄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근대적 문체 유형이 논의되어야 한다. 셋째, ‘-더라’형에서 ‘-엇다’형으로의 교체는 근대국어 시기의 시제 체계 변화에서 촉발된 ‘-더-’의 기능 변화에 기인한 것이다. 이에 20세기초의 서사문이 추구하던 새로운 서술 방식에 ‘-더라’는 더 이상 적절한 종결형이 될 수 없었고 대신 ‘-엇다’가 선택되었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changes of sentence-final forms in relation of modern writing style of Korean narratives in the early 20th century. We reviewed critically the various arguments of Korean literature and Korean stylistics in terms of Korean linguistics, and emphasized the need for consideration and understanding of different fields of study, for example, linguistics, literature, stylistics in the study of modern writing style of Korean narratives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results of this paper follows: First, sentence-final form '-ra' is the allomorph of '-da'. So change of writing style isn't oriented to the semantic-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se forms. Second, types of writing style, so-called '-ra' type and '-da' type include different semantic-functional sentence-final forms, and can not be the representatives of modern writing style. Third, the change of sentence-final form '-deora' to '-eossda' in narratives is due to the semantic-functional change of '-deo-' triggered by the change of past tense system in Modern Korean. So '-eossda' was chosen because it is the best sentence-final form for new writing style of the early 20th century, not '-deora'.

Ⅰ. 序論
Ⅱ. 終結語尾 ‘-라’와 ‘-다’
Ⅲ. ‘-라’體와 ‘-다’體
Ⅳ. ‘-더라’와 ‘-엇다’
Ⅴ. 結論
<參考文獻>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