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청소년 골프선수들과 지도자들을 대상으로 골프에서의 스포츠인성 구성요인을 탐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6명의 청소년 골프선수(남자=2명, 여자=4명)와 4명의 남자 지도자를 포함하여 총 1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자료는 참여관찰과 심층인터뷰를 통해 수집되었다. 수집된 원자료는 도덕성, 사회성, 그리고 정서성이라는 3가지 영역을 기준으로 범주화되었으며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수의 경우, 도덕성 차원에는 스포츠맨십, 정직, 규칙준수, 책임감이 포함되었고, 사회성 차원에는 인사하기, 배려, 대인관계, 의사소통, 공감, 동료의식이 포함되었으며, 정서성 차원에는 감정이해, 감정조절(긍정적 생각) 및 자기존중이 포함되었다. 둘째, 지도자의 경우, 도덕성 영역에서는 스포츠맨십, 가치관, 예의로 범주화 되었고, 사회성 영역에서는 배려, 대인관계, 의사소통, 갈등해결이 포함되었으며, 정서성 영역에서는 자기주도성, 자기관리, 인내 및 감정조절(긍정적 생각)로 범주화 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선수와 지도자가 바라보는 스포츠인성에 대한 관점의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골프 교육현장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나아가 선수들의 발전 가능성과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체계적인 골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plored the conceptual structure of sport character in golf perceived by youth golfers and coaches. 10 participants including 6 juvenile golf players (2 males and 4 females) and 4 male coache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 and depth interview. The raw data were categorized into three domains on the basis of morality, sociablity, and emotion. First, the sport characters perceived by youth golfers were classified as follows. In the case of moral aspect, sportsmanship, faithfulness, rule compliance, and accountability were recognized. Regarding social aspect, greetings, consider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munication, empathy, camaraderie were observed and in emotional dimension, emotional demonstrative apperception, emotion control, and self-respect were included. Second, the sport character derived from the coaches were categorized in different classification. In morality realm it was categorized as sportspersonship, attitude, and courtesy. In the domain of sociability, mann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munication, resolution could be observed. In the emotional region, it was categorized as self-direction, self-management, perseverance, and emotional control (positive thought).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provided advantageous information on the educational field by identifying the discrepancy in viewpoints of the player and the co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