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국민연금 실업크레딧의 노후소득보장 효과 -미시 시뮬레이션(micro-simulation)을 활용한 장기 전망-
The Effect of Unemployment Credit in National Pension on Old-Age Income Security: Long-term prospects by using micro-simulation model
이다미 ( Lee Dahmi ) , 권혁진 ( Kwon Hyuk Jin )
UCI I410-ECN-0102-2019-300-001132636

본 연구는 동태적 미시 시뮬레이션 모형을 활용하여 국민연금 실업크레딧의 노후소득보장 효과를 1991~2023년 출생코호트의 국민연금 수급률과 연금액 측면에서 전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업크레딧을 통한 노령연금 수급률의 증가폭은 평균 0.3%p 수준으로, 수급률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였고, 수급률 증가폭은 여성보다 남성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소득하위분위로 갈수록 실업크레딧을 통해 수급권을 확보할 가능성이 높아졌으나, 가입기간의 증가 효과는 소득중간계층에게서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실업크레딧 제도 개선을 위해 인정소득 상향(50%→100%)과 인정기간 확대(12개월→24개월)가 동시에 이루어진다고 해도, 현행에 비해 그 효과는 크게 증가하지 않는다. 넷째, 인정기간 확대에 비해 인정소득 상향의 효과가 상대적으로 더 크지만, 그로 인한 혜택은 상위계층에게 더 크다는 점에서 형평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향후 제도 개선 차원에서 실업크레딧의 인정소득 상향과 적용기간 확대는 동시에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현재 고용보험의 구직급여 수급요건 완화 등을 통해 실업크레딧 적용대상 규모 자체가 지금보다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long-term effect of the unemployment credit (hereafter UC) in National Pension on old-age income security for the birth cohorts from 1991 to 2023 in terms of the take-up rate, the insured period, and the benefit level by using dynamic micro-simulation model. The study estimated that the UC in National Pension has a small impact on the take-up rate of the pension benefit - 0.3%p increase on average - but has a relatively bigger impact on men’s than women’s; that the effect of UC in National Pension on the probability of securing old-age pension entitlement is bigger in lower income group, while the effect on the insured period is the biggest in the middle income group; that raising the level of the pensionable earning (50% of the final average salary before getting unemployed) to 100% has little effect on the increase in the pension benefit level in all cohorts and income groups; that raising the pensionable earning to 100% (of the final average salary before getting unemployed) is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pension benefit level than extending the insured period to 24 months, and the effect is bigger in the upper income group. This paper suggests to relax the conditions for the entitlement of the UC in National Pension linked to the job seeker’s benefit in Employment Insurance, raise the level of the pensionable earning, and extend the insured period.

I. 문제제기
II. 미시 시뮬레이션 모형과 기초 가정
III.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IV. 이론적 논의
V. 실업크레딧의 장기 효과 분석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