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Fonagy 등(2016)이 개발한 성찰기능 질문지(8문항)를 한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타당화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의 중·고등학생 총 45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먼저 200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원척도와 동일하게 성찰기능 확실성 척도와 성찰기능 불확실성 척도를 포함하는 2요인을 설정하였다. 내적 합치도는 .650∼.686으로 나타났으며 257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용 가능한 적합도를 나타냈다(GFI=.951, TLI=.862 CFI=.898, RMSEA=.05). 준거타당도 검증 결과, 정신화 질문지, 정서조절곤란 척도와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으며, 공감 척도와는 성찰기능 불확실성 척도를 제외하고는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지난 1년 동안 비자살적 자해 경험이 없는 집단과 있는 집단 간의 성찰기능 확실성, 성찰기능 불확실성 점수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찰기능 확실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구결과 한국 청소년 대상 성찰기능 질문지(8문항)는 청소년의 성찰기능 능력을 측정하기에 유용한 도구임이 시사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validated reflective functioning questionnaire (8item) developed by Fonagy et al(2016) in Korean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data of 457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area were analyzed. First of all,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on 200 subjects, and two factors including eflective functioning certainty (RFQY_C) and the reflective functioning uncertainty (RFQY_U) were set as the same as the original scale. The internal consistency was .650∼.686,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257 another subjects showed acceptable fit (GFI=.951, TLI=.862 CFI=.898, RMSEA=.05). The results of the validity test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mentalization questionnaire and emotional adjustment difficulty scale, an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empathy scale except the RFQY_U. Point differences in RFQY_C and RFQY_U between the two groups with and without experience in non-suicidal self-injury were examined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FQY_C.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reflection functioning questionnaire (8 items) for Korean youth is a useful tool for measuring the reflection function ability of adolescents.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