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검색어 자동 추천 기능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검색어 입력시 자동으로 관련어를 추천합니다.자동 추천 기능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어 입력시 자동으로 관련어를 추천합니다.
논문 상세보기
홈대한원격탐사학회>대한원격탐사학회지>춘천시 소양호 상류 부평지구의 퇴적환경에 대한 선행연구 - 현장조사와 위성영상자료를 중심으로 -
춘천시 소양호 상류 부평지구의 퇴적환경에 대한 선행연구 - 현장조사와 위성영상자료를 중심으로 -
Preliminary Research of the Sedimentary Environment in Bupyeng Reservoir Region, Soyang Lake in Chuncheon - Focus on Sentinel-2 Satellite Images and in-situ data -
수도권의 수해 피해를 막고 경제 성장에 기여해온 소양호는 2015년 가뭄 등으로 중상류의 수위가 크게 감소했다. 기존의 유량을 회복하기 위하여 인제군 신남면 부평리에 설치된 부평보는 부평지구 담수 지역의 퇴적환경에 인공적인 변화를 야기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평보 건설 이후의 퇴적환경의 변화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Sentinel-2 위성 영상 자료를 활용하여 부평지구 인근의 저수량에 따른 물의 면적을 시기별로 관측하였으며 현장 조사를 통하여 퇴적물의 입도와 함수율을 분석하였다. Sentnel-2 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2017년 9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수계면적 변화는 2018년 6월에 촬영된 영상의 수계면적이 최소 면적을 나타냈으며, 반대로 2018년 1월에 촬영된 영상이 최대 면적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함수율과 입도 분석 결과,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높은 함수율로 측정된 결과로 미루어 보아 퇴적층의 입자사이즈와 수분 함량의 상관관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부평지구 담수 지역의 드론에 의한 촬영을 진행한다면 다른 두 시기에 따른 동일 지역의 퇴적물의 분포 변화를 측정할 수 있으며, 현장 조사를 통하여 다양한 퇴적물의 종류도 관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oyang Lake has been contributing to economic growth by preventing flood damage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water level in the middle to upper flow of lake has been greatly decreased due to the drought in 2015. In order to restore the existing flow rate, Bupyungbo has been built in Bupyeongri, Shin Nam-myeon, Inje-gun to cause artificial changes on the sedimentary environment of Bupyeong freshwater region.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confirm the changes of sedimentary environment since Bupyeongbo has been utilized. For this study, we used the Sentinel-2 satellite image data periodically to measure the dimension of water according to the volume of water kept near Bupyung district and analyzed the particle size and the percentage of water content of the sediments through field study. The Sentnel-2 satellite images showed us how the water surface has been changed and that during the period from September 2017 to October 2018, the minimum and maximum area of water surface was observed in June 2018 and in January 2018, respectively. In addition, we find that the smaller being the particle size, the higher having the water content and that there is high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ater content and the grain size of the sediment layer. Hereafter, if we will acquire the drone images at Bupyung district, we expect that we will be able to measure the distribution of sediments in the same area according to different time periods and observe various kinds of sediment through field work.
UCI(KEPA)
I410-ECN-0102-2019-400-001363663
간행물정보
: 자연과학분야 > 기타(자연과학)
: KCI등재
:
: 격월
: 1225-6161
: 2287-9307
: 학술지
: 연속간행물
: 1985-2020
: 1578
저작권 안내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