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교사-유아 상호작용, 교사효능감 그리고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관계를 규명할 뿐 아니라, 유아의 기질의 정도에 따라 이러한 구조적 관계가 다르게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의 5차년도(2012) 데이터 중, 922명의 유아의 어머니와 담임교사가 답한 조사 문항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교수효능감은 교사-유아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유아상호작용은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높으면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높고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높으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교수효능감은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매개하여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교사-유아상호작용을 통해서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유아의 기질(사회성, 정서성, 활동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검증한 결과, 유아의 기질(사회성, 정서성, 활동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기질에 상관없이 교사효능감이 높은 경우 교사와 유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높아지고 교사와 유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높으면 유아의 또래와의 놀이상호작용이 높아짐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eacher efficacy,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peer play interaction and th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according to child temperament. To achieve this, this study used 922 samples` answer items which children`s mothers and their teachers responded on and us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 efficacy exerted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exerted significant effect on peer play interaction. Second, teacher efficacy did not have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peer play interaction, but teacher efficacy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peer play interaction, mediating by teacher-child interaction. Thirdly, this study showed that teacher efficacy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peer interaction via teacher-child interaction regardless of the levels of child`s temperament(sociality, emotionality, and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