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한정민 ( Jeong-min Han ) , 정웅열 ( Ungyeol Jung ) , 이영준 ( Young-jun Lee )
발행기관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간행물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1권 2호
발행 연도 : 2017
페이지 : pp. 3-5 (3 pages)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팅 사고력과 관련된 연구들을 연구주제, 연구대상, 적용교과를 기준으로 하여 분석 함으로써 앞으로 컴퓨팅 사고력과 관련된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컴퓨팅 사고력 관련 연구 중에서 KCI 등재지 총 38편을 선정하였다. 연구주제별로 분석한 결과, CT 교육의 실천방안을 모색하는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으며 이에 반해 CT 평가를 위한 도구 개발과 관련된 연구는 미미하였다. 연구대상 별로 분석한 결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그 중에서도 초등학교 5학 년 이상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다. 적용교과별로 분석한 결과, 정보교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초등학교의 정보교육이 정규교육과정보다 교과 외의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었다. 세 가지 결과를 바탕으로 CT 평가와 관련된 연구, 초등학교 저학년과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 야하며 초등학교 전 학년을 위한 필수교과로서의 정보교육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결론지었다. 이를 위 해 초등학생을 위한 정규교육과정 외의 정보교육의 현황을 조사 및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컴퓨팅 사고력, 정보문화소양 및 협력적 문제해결력 함양을 목표로 하는 소프트웨어 교육, 즉 코딩 교육에 있어서 양질의 강사를 수급하는 것은 교육의 성패를 결정하는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초등학교의 방과후학교, 중학교 자유학기 등의 강사 수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코딩교육 전문강사 양성 과정이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여성가족부와 각 지자체의 여성새일센터 등을 중심으로 개설 및 운영되고 있는 코딩강사 양성 프로그램의 운영 및 개설 현황, 운영 시간, 수강생 특성, 교육과정 등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코딩교육 전문강사 양성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분석 등의 후속연구로 이어질 수 있다.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컴퓨팅 사고력은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접어든 우리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미래 역량으로 꼽히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2015 개정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을 통해 컴퓨팅 사고력 신장을 위한 SW교육을 강조 하고 있다. 3D 모델링 교육은 컴퓨팅 사고력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3D 모델링을 위하여 실제의 구체물을 단순화 하거나, 모델링을 위하여 필요 없는 부분을 삭제하거나 추가하는 것이 컴퓨팅 사고력의 추상화에 해당된다. 그리고 모델링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은 일종의 자동화에 해당된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팅 사고력 신장을 위한 3D 모델링 교육에서 권장할만한 3D 모델링 프로그램을 틴커캐드(TinkerCad)로 제시하였으며, 컴퓨팅 사고력 신장을 위한 틴커캐드 활용 초등 3D 모델링 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SW교육이 활성화되어 많은 SW교육용 교구들과 교안들이 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SW교구들 이 가지는 특성들을 STEAM 교육 요소에 근거하여 필요 요소들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피지컬 컴퓨팅을 활용한 SW교육용 교구가 가져야할 기능을 제시하고, SW 교육 현장에 있어서 STEAM형 SW교구 선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생의 기초 알고리즘 개념 습득 및 프로그래밍 능력 함양을 위한 순서도 적용 방안을 제안한다. 컴퓨팅 사고력 함양을 위해서는 프로그래밍 전에 알고리즘을 설계하는 단계가 포함되어야 하며, 초등학생의 프로그래밍 교육은 블록형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알고리즘 설계에 순서도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나, 플록형 프로그래밍 언어의 특성상 순서도 기본 기호로만 블록을 표현하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반복구조와 선택구조를 중심으로 블록을 순서도로 표현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저자 : 송승훈 ( Seung-hun Song ) , 강신천 ( Shin-cheon Kang ) , 김창석 ( Chang-suk Kim ) , 정종인 ( Jong-in Chung ) , 김의정 ( Eui-jeong Kim )
발행기관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간행물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1권 2호
발행 연도 : 2017
페이지 : pp. 25-28 (4 pages)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웹 2.0시대의 도래는 데이터의 소유자나 독점자 없이 누구나 손쉽게 데이터를 생산하고 공유할 수 있고, 서비스 받을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었다.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스마트 교육시장이 유망 분야로 주목받는 가운데 교육현장에서도 스마트 러닝에 대한 관심도 또한 높아지고 있다. 기존의 데스크톱, 태블릿 PC를 통해 학습을 하던 환경에서 벗어나 이제는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러닝이 교육환경을 보편 적으로 접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경험의 UX(User eXperience) 디자인을 바탕으로 어떠한 환경 에서도 스마트 러닝이 가능한 웹사이트를 워드프레스 플랫폼으로 구현하고자 한다. 또한 본 웹사이트를 다 양한 디바이스에서 테스트를 통해 스마트 러닝이 가능한 환경인지를 검증해 본다.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W-grammar(Van Wijngaarden grammar)[1].란 형식 문법의 한 종류인 문맥 자유 문법(Context-free grammar, CFG)의 대안으로, 두 개의 CFG가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언어를 정의하도록 구성된 문법을 말하며 그 구성상의 특징을 감안하여 2-level grammar라고도 부른다. 현재 많은 프로그래밍 언어는 CFG를 기 반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W-grammar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를 정의하여 CFG 기반이 아닌 W-grammar 프로그래밍 언어의 진입점을 제공함과 동시에 기저의 문법에 따른 계산가능성에 대해서 연구하는 토대를 쌓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저자 : 이승철 ( Seung-chul Lee ) , 이샛별 ( Saet-byeol Lee ) , 김태영 ( Taeyoung Kim )
발행기관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간행물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1권 2호
발행 연도 : 2017
페이지 : pp. 31-34 (4 pages)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현재 4차 산업혁명이 사회에 던지는 화두는 다양하다. 첫째, 소프트웨어 중심 사회이다. 빅 데이터, 인공지능 기술 등이 다양한 분야와 결합하고 그 중심에는 소프트웨어가 있다. 앞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이 필수적이 고 강화되어야 할 이유다. 둘째, 생산과 소비가 결합된다는 것이다. 즉, 더 이상 소비자가 수동적인 소비자로 만 남지 않으며, 획일화된 제품과 서비스에 흥미를 느끼지 않고, 소비자가 직접 자신이 구매할 제품 생산과 판매에 관여하는 `프로슈머(prosumer)` 필요한 물건을 직접 만드는 D.I.Y.(Do It Yourself), 3D 프린팅등이 새로운 소비 방식을 대표한다[3]. 이에 메이커 운동이 떠오르고 있고, 메이커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소프트웨어 교육을 강화했다. 초등학교에서는 5~6학년 실과 교과 의 정보 관련 단원이 ICT활용 중심에서 소프트웨어 기초 소양 내용 중심으로 개편되었다[1]. 아직 교육과정 이 시행되기 전이지만 선도학교나 연구학교를 통해 진행된 소프트웨어 교육을 보면 기능을 익히는 프로그래밍 교육이 주류를 이루고 있고, 이래서는 다양하고 창의적인 결과물을 도출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서는 디자인 사고를 도입할 수 있다. 디자인 사고는 인간을 관찰하고 공감하여 소비자를 이해한 뒤, 다양한 대안을 찾는 확산적 사고와 주어진 상황에 최선의 방법을 찾는 수렴적 사고의 반복을 통하여 혁신적 결과물을 도출하는 창의적 문제 해결 방법 중 하나이다[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디자인 사고 기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저자 : 김남훈 ( Nam-hun Kim ) , 주종민 ( Jong-min Joo ) , 박혁로 ( Hyuk-ro Park ) , 양형정 ( Hyung-jeong Yang )
발행기관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간행물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1권 2호
발행 연도 : 2017
페이지 : pp. 37-40 (4 pages)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논문에서는 국가 연구 보고서의 공기 관계 정보와 제목, 요약 등에 가중치를 적용한 유사도 계산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국가 연구개발 보고서에서 텍스트를 추출하여 한 문장 단위로 문서를 분할 하고, 기본 불용어와 보고서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불용어를 처리하고 형태소 분석을 한 뒤 공기관계를 추출하였다. 또한 문서의 유사도 계산시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제목과 요약 부분에 가중치를 부여 하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문서 검색 라이브러인 루씬(Lucene)을 이용한 방법보다 2.5%의 검색성능 향상을 그리고 Knn-휴리스틱 방법보다는 1.1%의 검색성능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문서의 요약과 제목 그리고 공기관계 정보가 연구보고서의 유사도를 계산 하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였다.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논문에서는 컨볼루션 신경망 네트워크(CNN:Convolution Neural Network)을 기반으로 단어의 의 미와 순서를 고려하는 문서 색인 방법을 이용하여 한글 문서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문서를 형태 소 분석하여 어절 단위로 분리 한 후, 불용어를 처리 하고, 문서의 단어 의미를 고려하는 문서 표현하고, 문서의 단어 순서까지 고려하여 CNN의 입력으로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CNN 분류기를 기반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문서 색인 방법은 TF-IDF를 이용하는 방법보다 4.2%, Word2vec만 단독으로 사 용하는 것보다 1.4%의 성능 상승을 이루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문서 범주화 데이터 셋에서 문서 분류 성능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