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김동민 ( Kim Dong Min ) , 임지영 ( Lim Ji Young )
발행기관 : 한국가족관계학회
간행물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7권 4호
발행 연도 : 2023
페이지 : pp. 3-36 (34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연구목적: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와의 애착과 관계적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또래 존재감과 거부민감성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규명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대구광역시와 울산광역시, 경상북도와 강원도 소재의 5개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초등학교 4학년, 5학년, 6학년 485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IBM SPSS 25.0 프로그램과 Hayes의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을 살펴본 결과 학년이 올라갈수록 관계적 공격성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 학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학년을 제외한 인구 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아동의 관계적 공격성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계적 공격성은 거부민감성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부모애착과 또래존재감과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와의 애착과 관계적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또래존재감과 거부민감성의 이중 매개 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는 아동과 부모의 안정적인 애착이 아동의 또래존재감과 거부민감성을 통하여 아동의 관계적 공격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또래 관계의 중요성이 커지는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아동의 관계적 공격성에 있어 부모와의 안정적인 애착, 또래존재감, 거부민감성의 중요성을 밝힘으로써 아동의 관계적 공격성 감소와 부모와의 안정적인 애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실천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mattering and rejection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relational aggression and parental attachment perceived by children. Method: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485 students who were 11-13-year-old attending elementary schools in Daegu, Gyeongsangbuk-do Province, Ulsan, and Gangwon-do Province. For data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Model 6 of PROCESS macro for SPSS 25.0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mattering and rejection sensitivity.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relational aggression by grad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sibling relationship, and economic condition.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relational aggression and rejection sensitivity and negative correlations among relational aggression, parental attachment, and children's mattering. Third, children's mattering and rejection sensitivity mediated in sequence the effect of parental attachment on children's relational aggression.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variables associated with relational aggression, which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later interpersonal relations among 11-13 year old children. Results also provide preliminary data to develop and implement programs to reduce children's relational aggression and seek parents' stable attachment.
저자 : 김진아 ( Kim Jin Ah ) , 최연실 ( Choi Youn Shil )
발행기관 : 한국가족관계학회
간행물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7권 4호
발행 연도 : 2023
페이지 : pp. 37-72 (36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연구목적: 인지행동커플치료 기반의 비대면 화상상담의 효과와 인지행동커플치료 기반의 비대면 화상상담에 디지털치료도구를 추가 개입하였을 때의 효과를 다면적측정방식을 통해 비교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사전·사후 측정을 포함해 총 10주가 소요되었으며, 주 1회 90분씩 8회기의 프로그램을 각 부부에게 개별적으로 제공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만 4세∼6세 유아기 자녀를 둔 부부 총 15커플 30명으로, 실험집단 5커플에게는 인지행동커플치료만 처치했고, 비교집단 5커플에게는 인지행동커플치료에 디지털치료도구를 추가하여 처치하였다. 대기집단 5커플에게는 실험기간 동안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인지, 행동, 정서의 영역을 각각 구분하고 자기보고 방식과 상호 작용 관찰, 생리적 측정, 인터뷰를 활용한 치료과정 분석을 통해 다면적으로 부부관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지행동커플치료는 인지영역인 부부관계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과 행동영역의 역기능적 의사소통, 부부 상호작용 관찰, 정서 영역의 배우자에 대한 공감에 효과적이었으나, 심박변이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인지행동커플치료에 디지털치료도구를 추가 개입했을 때, 인지영역의 부부관계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과 행동영역인 역기능적 의사소통, 부부 상호작용 관찰, 배우자에 대한 공감, 심박변이도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인지행동커플치료만 단독으로 처치하였을 때보다 디지털치료도구를 추가하여 개입하였을 때 변화가 더욱 강력하였다. 셋째, 참여자들이 보고하는 인지 변화는 행동 변화로 연결되었고, 배우자의 행동 변화를 보면서 자신의 변화 계기가 되었다. 결론: 인지행동커플치료프로그램은 부부관계에 긍정적 변화를 보였고, 디지털치료도구를 추가로 처치했을 때 치료 효과는 더욱 강력했다. 본 연구는 인지·행동·정서의 다면적 측면을 고려하여 인지행동커플치료의 접근성을 높였고, 디지털치료도구의 현장 가능성을 탐색했다는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effect of non-face-to-face video counseling based on cogni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and the effect of adding digital treatment tools to non-face-to-face video counseling were compared and verified through a multi-faceted measurement method. Methods: For the duration of 10 weeks, pre- and post-measurements were conducted and eight programs were provided individually to each couple once a week for 90 minutes. A total of 15 couples with infant children aged 4 to 6 years old participated in the study. Five couple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only cogni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whereas digital treatment tools were additionally provided to the comparative group of other 5 couples. No treatment was given to the remaining 5 couples in the waiting group during the experimen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se programs, the areas of cognitive, behavior and emotion were classified, respectively, and marital relations were measured in multiple ways using self-report, interaction observation, physiological measurement, and treatment process analysis using interviews. Results: First, cogni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was effective in irrational beliefs about marital relations in the cognitive domain, dysfunctional communication in the behavioral domain, marital interaction observation, and empathy for spouses in the emotional domain, but did not affect heart rate variation. Second, when digital therapy tools were additionally involved in cogni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it was effective in irrational beliefs about marital relationships in the cognitive domain, dysfunctional communication, marital interaction observation, empathy for spouses, and heart rate variation. In addition, the change was more powerful when digital treatment tools were used compared to when only cogni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was conducted alone. Third, the cognitive changes reported by the participants led to behavioral changes, and became an opportunity for self-change while watching the behavioral changes of the spouse. Conclusions: The cognitive behavioral couple treatment program showed positive changes in marital relationships, and the treatment effect was stronger when additional digital treatment tools were utiliz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creased the accessibility of cogni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in consideration of the multifaceted aspects of cognition, behavior, and emotion, and explored the field potential of digital treatment tools.
저자 : 리만 ( Li Man ) , 안정신 ( An Jeong Shin )
발행기관 : 한국가족관계학회
간행물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7권 4호
발행 연도 : 2023
페이지 : pp. 73-95 (23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유아기질 및 양육스트레스가 출신국가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결혼이주여성의 출신국가별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유아기질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방법: 결혼이주여성 276명을 대상으로 PASW 18.0을 이용하여 빈도, 평균, 신뢰도, 분산분석, 상관계수,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그리고 유아기질에 출신국가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반면 결혼이주여성의 양육스트레스는 출신국가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출신국가에 따라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면, 결혼이주 중국 여성의 양육스트레스에서 의사소통문제, 양육효능감, 유아의 적응적 기질 순으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결혼이주 베트남 여성의 경우는 적대감과 의사소통문제 순으로, 결혼이주 일본 여성의 양육스트레스에는 적대감, 양육효능감, 유아의 규칙적 기질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결혼이주여성들의 출신국가에 따라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이 다르므로 양육스트레스를 경감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문화적 배경과 양육관련의 특성들을 고려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cultural adaptation stress, parenting efficacy, infant temperament, and parenting stress of Chinese, Vietnamese, and Japanese marriage migrant women. Also,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cultural adaptation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infant temperament influence parenting stress of marriage migrant women. Method: 276 marriage migrant women from China, Vietnam, and Japan were surveyed. For data analysis, SPSS 18.0 was used to obtain frequencies, means, reliabilities,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Variance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also performed. Resul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ultural adaptation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infant temperament among marriage migrant women by their country of origin. No such difference was observed in parenting stress. Second, the communication problem was most significantly related to parenting stress among Chinese marriage migrant women, followed by parenting efficacy and adaptive infant temperament. For marriage migrant women from Vietnam, hostility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next to the communication problem. Hostility was also most significantly related to parenting stress among Japanese women, followed by parenting efficacy and orderly temperament of infants. Conclusions: Findings highlight that cultural backgrounds and parenting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reduce parenting stress among marriage migrant women.
저자 : 박선미 ( Park Sun Mi ) , 박정윤 ( Park Jeong Yun )
발행기관 : 한국가족관계학회
간행물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7권 4호
발행 연도 : 2023
페이지 : pp. 97-119 (23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신(新)중년의 은퇴 전후과정에서 배우자관계 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 요인이 우울궤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종단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조사는 신중년(50∼69세)에 해당하는 한국복지패널의 5년간(12∼16차)자료를 활용하여 베이지안잠재성장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분석결과, 첫째, 신중년의 우울은 5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둘째, 은퇴 전후 5년간 신중년의 우울은 지속적인 증가 양상을 보였다. 셋째, 은퇴 전후과정, 배우자관계 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 동시 투입한 결과 은퇴 전후과정 5년간 우울을 지속적으로 증가시켰고, 배우자관계 만족도 역시 우울을 지속적으로 증가시켰으며, 삶의 만족도만 우울을 지속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결론적으로 신중년의 은퇴 전후과정에서 우울의 증가양상을 줄이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은 개인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아울러 배우자관계 만족도 향상을 위한 개입이 병행될 때, 그 효과는 더욱 클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는 가족관계 분야의 종단적 인과관계 규명을 보다 객관화 할 수 있는 분석방법(베이지안잠재성장모형)을 토대로 향후 신중년의 우울 감소를 위한 임상과 새로운 정책을 위한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시함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ngitudinally examine how spous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influenced the depression trajectory before and after retirement of the new middle-aged. Method: Five years of data (12th-16th waves) from Korean Welfare Panel pertaining to the new middle-aged (50 to 69 years old) were used for Bayesian latent growth modeling. Results: First, the level of depression in the new middle-aged continuously increased for 5 years. Second, the level of depression across the 5 year span of pre- and post-retirement showed a pattern of continual increase. Third, entering spousal relationship and life satisfaction together into the model increased the level of depression across the 5 year span of pre- and post-retirement. Spousal satisfaction continually heightened the level of depression, whereas life satisfaction continually reduced the level of depression.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an effective way to reduce the increase in depression among the new middle-aged is to improve individual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when interventions to improve spous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re combined, the effect is expected to be even great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esenting useful preliminary data for clinical trials and new policies to reduce depression in the new middle-aged by using an analytic method that can further objectify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 in the field of family relations.
저자 : 박우철 ( Park Woo Chul ) , 강혜성 ( Kang Hye Seong )
발행기관 : 한국가족관계학회
간행물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7권 4호
발행 연도 : 2023
페이지 : pp. 121-153 (33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가족센터에 적용할 수 있는 12∼24개월 걸음마기 대상 양육자-자녀관계검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평가하여 양육자와 자녀 관계 향상을 위한 체계적 개입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했다. 연구방법: 걸음마기 자녀를 둔 네 가족을 대상으로 단일대상연구의 다중기준선설계를 사용하였으며, 기준선 기간과 중재기간 동안 총 7∼8회의 성과 검사를 실시하였다. 피드백 회기 2개월 후에는 후속 면접을 추가로 실시하여 개입 효과 및 변화지속여부에 대한 구조화된 질문을 중심으로 질적평가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시각적 방법과 통계적 방법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양육자-자녀관계검진 프로그램 시작 전부터 프로그램 종결 후 2개월까지의 변화(양육자 자기이해, 관계향상방법 이해, 양육 스트레스, 부모자녀 관계 질)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양육자-자녀관계검진 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특히 양육자 자기이해와 관계향상방법 이해의 증진 효과가 컸다. 결론: 본 연구는 양육자-자녀관계검진 프로그램이 양육자의 자기이해 및 관계 향상에 도움이 되는 측정, 평가, 선별 도구이자 지역사회 기반의 가족센터에 적용할 수 있는 예방적 초단기 컨설팅 프로그램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Objectives: The caregiver-child relationship is key to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children. Prevention and early intervention programs that support caregivers are a growing public health initiative. In the present study, we developed a caregiver-child relationship checkup(CRC) program and investigated its effectiveness in one of the nationwide community-based family centers. Method: A single-case, multiple-baseline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4 families with toddlers and 7∼8 data points were collected during the baseline phase and the intervention phase. After 2 months following the feedback phase, a follow-up interview was conducted and visual and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RC. Results: Overall, findings suggested that the CRC positively influenced caregivers, especially in heightening their self-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of how to improve relationships with their children. Participants also reported high levels of satisfaction with the CRC. Conclusions: These results support that the CRC can be a promising, brief prevention/intervention program for assessing and supporting caregiver-child relationships in the community-based family centers.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