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2.168.13
18.222.168.13
close menu
KCI 등재
운보 김기창 `바보화풍`의 시기별 특징과 가치
云甫金基昶`?瓜畵風`的各時期特征與意義
최병식
동양예술 33권 233-256(24pages)
UCI I410-ECN-0102-2018-600-000269622

운보 김기창의 예술세계는 20세기 초에서 후반에 이르는 근현대 한국 전통화단의 맥락을 잇는 미술사적 가치와 의미를 지니고 있다. 특히나 그 중에서 1970년대-1980년대까지 이어지는 `바보화풍`은 조선시대 민화와 풍속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해가는 운보만의 독특한 화풍을 보여줌으로써 의미를 지닌다. 특히나 수많은 청록산수에서도 보여주고 있듯이 유토피아적 세계관을 구현하기 위하여 십장생도를 비롯한 도석 인물화류의 작품을 상당수 남기고 있는 등 그의 도가적 세계관은 당대 미술계에서 발견하기 어려운 운보만의 독자적인 `이상향산수`이다. 2장에서는 이와 같은 바보화풍의 시기구분과 배경을 살펴보고, 3장에서는 시기별 분석에서 전기(1975-1984)와 후기(1984-1989)에 걸친 바보화조, 바보산수, 서상도, 장생도 등의 작품과 시기별 주요 특징을 살펴보고 분석을 하였다. 4장에서는 특징과 미술사적 가치를 기술함으로써 향후 한국 전통회화의 계승과 방향성을 제시해 가는데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金基昶(1913-2001)的藝術世界是正在貫通從20世紀初到后期, 進行繼承近現代韓國傳統的畵壇脈絡, 同時包含着美術史的价値和意義。其中特別是代表在20世紀70年代-80年代的`?瓜畵風`, 用現代感覺再次詮釋了朝鮮時代風俗畵和民畵, 只是金基昶自己表現出獨到的畵風。正如?多的靑綠山水所顯示的那樣, 爲了體現烏托邦的世界觀, 包括十長生畵和道釋人物畵作品, 留下了相當數量的藝術价値?高的作品, 在當代美術界上, 他的道家的世界觀?難?到的, 又是金基昶自成獨立的`烏托邦山水`。第二章, 察看了?瓜畵風的時期區分和背景, 第三章, 就是將金基昶的前期(1975-1984)和后期(1984-1989)的風格, 卽?瓜花鳥、?瓜山水、瑞像圖、長生圖等等的作品, 進行分析了各時期的主要特征。 第四章, 作爲敍述其特征與美術史的价値, 而提出了以后韓國傳統?畵的繼承和方向性, 同時要提示其典范。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