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NPS`s FX Trading on Exchange Rate
국민연금기금은 국내주식, 채권시장에는 투자포화 상태라는 점을 인지하여 해외투자의 비중을 확대하고 있는 중이다. 국내 외환시장에서 국민연금기금의 외환거래가 증가함에 따라 국민연금기금의 외환거래가 국내 외환시장의 환율과 그 변동성에 과도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민연금기금의 외환거래가 국내 외환 시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기간은 2010년 1월부터 2014년 6월 말이며, 연구기간 전체 및 각 연도별로 개별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해외투자 규모가 본격적으로 확대되기 전에는 국민연금기금의 거래량은 양의 방향으로 환율 변동성에 영향을 미쳤으나, 오히려 해외투자 규모가 증가한 후반기에서는 음의 방향으로 유의성을 나타냈다. 국민연금기금의 외환거래는 투자위원회의 자금운용계획에 따라 규칙적으로 수행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국민연금기금의 이러한 규칙적 외환거래가 시장의 안정적 기대 형성을 가능케 하여 시장의 교란요인을 최소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In June 2014, the asset under management of National Pension Service (NPS) of Korea reached over 444 trillion won. NPS forecasts that the asset size will gradually grow to around 2,561 trillion won until 2043. The NPS investment of domestic equities and fixed income securities have been already saturated. So the NPS started to expand in global investment. Accordingly, the worries have grown that NPS`s trading in foreign exchange markets may lead to the instability in FX market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influence of NPS`s foreign exchange transactions in domestic FX market. The period of study was 54 months from Jan 2010 to June 2014. For detailed research, separate analysis was performed by full year and each year. Our main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There are statistically plus significant influences of the NPS`s trading volume on the estimated volatility of spot rate on the first half. However, there are minus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second half. The NPS`s FX trading is known to be systematically regulated by the financial planning of the investment committe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regulation of the NPS`s FX trading minimizes the disturbances of the currency by maintaining the stable market expectation in FX markets.
I410-ECN-0102-2017-320-000375648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간행물명 | 최신권호 |
---|---|
|
22권 1호 |
중소기업포커스 |
2022권 9호 |
POSRI 이슈리포트 |
2022권 7호 |
|
24권 2호 |
|
13권 2호 |
|
36권 2호 |
|
16권 2호 |
|
44권 2호 |
|
25권 3호 |
|
35권 1호 |
지방재정 |
2022권 3호 |
|
6권 2호 |
한국융합과학회 춘계 학술세미나집 |
2022권 0호 |
|
11권 6호 |
|
5권 2호 |
|
21권 2호 |
KEFe매거진 |
93권 0호 |
|
21권 3호 |
ICT Industry Outlook of Korea |
2022권 0호 |
|
30권 3호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kiss@kstudy.com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