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5.254.81
18.225.254.81
close menu
KCI 등재
재난의 인적환경 취약성이 사회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 -재난안전 국민인식 옴니버스 조사결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Human Environment Vulnerability of Disaster on Perception of Social Risk: Centers on the Omnibus Survey of Disaster and Safety Perception
이동규 ( Dong Kyu Lee ) , 민연경 ( Youn Kyoung Min )
UCI I410-ECN-0102-2016-350-000697130

본 연구는 사회위험의 인식이 재해발생의 인적원인 즉, 인적환경 취약성에 초점을 맞춰 심리적 결함과 인적관리결함에 영향 받을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한 연구의 결과와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난안전에 대한 있어서 자연재해와 공공시설물 대형화재 등 사회재난 발생에 대한 심리적 불안감, 인적관리 결함요인으로 정부의 대응역량이 사회위험인식을 결정하는 중요요인임을 검증하였다. 둘째, 우리 사회가 재난으로부터 위험하다는 인식에 대해 여성이 남성보다, 20~30대의 연령대인 사람이 50~60대 이상 보다 상대적으로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부차원의 인적관리 결함이 사회위험인식에 가시적인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국민들은 사회위험과 사회 안전에 대한 일차적인 책임이 정부에 있다고 볼 수 있는 만큼 재난예방 및 대응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관리역량 제고가 필요하다는 점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social risk awareness, a multi-dimensional concept, can be affected by psychological defect and management defect, focusing on the human cause of disaster occurrence, that is, the vulnerability of human environment.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vulnerability of human environment of disasters as the risk factor,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anxiety of disaster safety and environment structures as human management defect, and the vulnerability of the government`s countermeasure capabilities on social risk awarenes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the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verified that the anxiety about natural disasters and human disasters among the psychological vulnerability on disaster safety and the government`s countermeasure capabilities as the human management vulnerability factor were important factors for determining the social risk awareness. Second, it was found that, in the demographic factors, the social risk awareness was high in women and those with low age. These results mean that the government`s human management defect is a very important factor that has visible effects on the social risk awareness and that, since the people view that the government has the primary responsibility for social risk and social safety,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government`s active management capabilities for disaster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