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오규설 ( Oh¸ Kyu-seol )
발행기관 : 청람어문교육학회
간행물 :
청람어문교육
87권 0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7-34 (28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연구는 교실 평가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하여 평가 공학의 한 분야인 자동문항생성을 활용한 디지털 형태의 읽기 평가의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평가 공학적 접근은 측정 및 평가 설계와 평가 도구 개발의 디지털화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이는 읽기 평가의 타당도 제고에 기여하는 한 방안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평가 공학의 관점에서 AIG의 개념을 검토하고, 읽기 평가에서 문항 모형을 활용한 디지털 전환의 이론적 토대를 제시하였다. 특히 텍스트 명제 분석에 기반하여 읽기 평가 문항 모형을 설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논의에 기반하여 실제 사실적 독해영역의 문항 모형 개발 사례를 검토하였다. 하나의 텍스트에 대해 8개의 문항 형식으로 구성된 문항 모형을 검토하여 읽기 평가에서 자동문항생성의 실행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읽기 평가 설계 지식을 디지털화하여 코드로 구현한 점, 텍스트 이해를 평가하기 위한 명제 분석 기반의 평가 내용을 구성한 점, 코드화를 통한 문항 형식의 다양성(Versatility)을 구현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후 효과적 선지 설계, NLP 기술과의 접목, 적응형 평가, 학습을 위한 평가로 나아갈 수 있는 AIG를 활용한 읽기 평가 연구의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About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classroom assessment, this paper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digital reading assessment using automatic item generation, a field of assessment engineering. The assessment engineering approach focuses on the digitization of measurement and assessment design and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s, which can be one way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validity of reading assessment. To this end, the concept of AIG was reviewed from the viewpoint of assessment engineering. This paper presented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digital transformation using the item model in reading assessment. In particular, a method to design a reading assessment item model based on text proposition analysis was presented. Based on this discussion, this paper reviewed the case of item model development in the reading comprehension area. And this study discussed the feasibility of automatic item generation in reading assessment by examining the item model consisting of 8 item formats for one tex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reading assessment design knowledge was digitized and implemented as a code, the proposition analysis-based assessment content to assess text comprehension was composed, and the versatility of the item format was realized through coding. Afterward, the future works of reading assessment research using AIG, which can progress to effective predictive design, grafting with NLP technology, adaptive assessment, and assessment for learning, were discussed.
저자 : 변숙자 ( Byeon¸ Sook-ja )
발행기관 : 청람어문교육학회
간행물 :
청람어문교육
87권 0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35-71 (37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연구는 초·중·고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COVID-19 상황에서의 온라인 교육에 관한 수행 경험 및 인식을 조사·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어교육적 관점에서 온라인 교육을 위한 일정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온라인 교육의 문제점으로, 쌍방향 의사소통 단절 및 온라인 교육 시스템 부실, 교사 역량 부족 및 수업 환경 미흡 등을 중요한 문제점으로 지적하였고, 이에 대한 보완점으로 쌍방향 소통이 가능한 온라인 교육 환경 구축 및 교사 전문성 강화, 제도적 지원 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학생들은 온라인 교육의 좋은 점으로, 가정 환경에 기반한 편리성과 시간 활용의 자율성을 가장 긍정적으로 제시하였으나, 어려운 점으로는 실시간 질문 및 의사소통 제한에 따른 학습내용 이해력 부족을 가장 강하게 인식하였다. 온라인 교육의 공통적 문제점은 의사소통의 단절로서, 의사소통 도구 교과인 국어교육에서는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해 쌍방향 온라인 수업 플랫폼 활용 확대, 온라인 기반 의시소통 교육 방안 재구조화, 온·오프라인 병행 및 융합 교수·학습 모델 개발, 디지털 미디어에 기반한 문화교육 강조를 방안으로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online education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and to derive certain implications for onlin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urvey, teachers suggested the establishment of an online education system that enables two-way communication as a problem of online education, and as a complementary point, the two-way communication break. The students presented the most positively about the convenience of online education and the autonomy of time use based on the home environment, but the difficult point was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learning content due to real-time questions and restrictions on communi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mmon problem of online education is the disconnection of communication, an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 communication tool subject, it was found that it is most important to prepare a plan to activate communication.
저자 : 최숙기 ( Choi¸ Sook-ki )
발행기관 : 청람어문교육학회
간행물 :
청람어문교육
87권 0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73-101 (29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인지진단평가는 검사를 통해 측정하고자 하는 지식이나 기능인 인지요소의 숙달 여부를 토대로 학습자의 학업적 강점과 약점을 체계적으로 진단하여 실증적인 학업적 성장을 지원하는 교수적 피드백을 제공해줄 수 있다는 점에서 학습 지향적 평가로서의 평가 패러다임 내에서 주목받는 평가 방안 중 하나이다. 전통적인 평가 결과가 총점에 기반한 성취수준에 대한 서열적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치는데 비해 인지진단평가는 학습자 맞춤형 교수학습 방안을 설계하도록 하는 데 보다 더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다만, 학습자 맞춤형 국어 수업 설계를 위해서는 첫째, 국어과 평가 맥락을 고려한 타당한 인지 요소의 표준화 목록의 개발, 둘쨰, 학습자 맞춤형 피드백이 가능한 인지 요소의 체계화, 셋째, 평가 결과를 반영한 맞춤형 학습 경로도 순서도의 개발의 방안을 체계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Cognitive diagnostic evaluation can provide instructional feedback to support empirical academic growth by systematically diagnosing learners' academic strengths and weaknesses based on their mastery of cognitive factors, which are knowledge or skills to be measured through tests. It is one of the evaluation methods attracting attention within the evaluation paradigm as a learning-oriented evaluation. While traditional evaluation results only provide hierarchical information on achievement level based on total points, cognitive diagnostic evaluation is more effective in helping learners design customiz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However, for personalized Korean language class design, first,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list of valid cognitive elements in consideration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evaluation context; second, systematization of cognitive elements that enable learner-tailored feedback; third, development of a customized learning path chart that reflects evaluation results.
저자 : 구영산 ( Goo¸ Young-san )
발행기관 : 청람어문교육학회
간행물 :
청람어문교육
87권 0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03-143 (41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이 연구의 목적은 선거공보에 대한 고등학생 유권자의 흥미, 이해, 평가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이들에게 필요한 국어과 교육 내용의 방향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2020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사용된 선거공보를 자료로 이에 대한 흥미, 이해, 평가를 설문조사로 알아보았다.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고등학생 유권자들이 선거공보라는 언어 자료를 올바르게 다룰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육 내용의 방향을 크게 세 가지로 제안하였다. 첫 번째, 선거공보 텍스트의 올바른 이해가 성숙한 선거권 행사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고등학교 학생들이 우선적으로 해당 텍스트에 대하여 관심을 가질 수 있게 하는 교육 내용의 구상이 필요하다. 두 번째, 정치적 중립성을 훼손하지 않는 수준에서 정치 및 정책 관련 주요 용어에 대한 교육 내용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 선거공보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읽고 판단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이 요구된다.
The study analyzes high school student voters' interest in, understanding of, and evaluation of campaign pamphlets, and suggests ways in which education can prepare people to be informed voters. I administered questionnaires asking 3rd-grade high school students to report their interest in, understanding of, and evaluation of campaign pamphlets used in the elections for the National Assemb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I propose three major recommendations for teaching high school students about politics to prepare them to evaluate these kinds of materials. First, since engagement with campaign pamphlets is necessary for informed voting decisions, educational content should be geared to generating interest in the text. Second, basic literacy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partly to inform students about important terminology used in political campaigns. Third, we need educational content that trains students to critically examine campaign materials and form educated views.
저자 : 장지혜 ( Jang¸ Ji-hye )
발행기관 : 청람어문교육학회
간행물 :
청람어문교육
87권 0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45-184 (40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연구는 공적 언어의 재현, 혹은 이를 통한 지식의 생산을 위한 논증에서 더 나아가, 내 안에서 시작된 물음에 대해 개인적 언어로 사유하고 개인적 언어를 기꺼이 공적·사회적 언어의 세계로 가져와 소통할 수 있는 방식과 태도를 기르는 가능성이 논증에 있다고 보고, 논증을 매개로 개인적 언어와 공적·사회적 언어를 통합하는 교수·학습 내용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수업은 '영화 감상 - 가치 논제 토론 - 가치 해석 글쓰기'의 단계로 구체화함으로써 학습자들이 개인적 언어가 공적·사회적 언어로 넘어오는 순간을 체험할 수 있도록 도왔으며, A, B 대학교에서 수업을 진행하고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자료를 중다사례연구(multiple-case study)의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해당 수업을 통해 '개인적 언어의 공적언어화 과정', '개별적 맥락에 대한 보편적 응답의 탐색 과정', '개인적 사유의 변증법적 갱신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필자들이 개인적 언어의 고유성과 풍요로움을 공적·사회적 언어로 연계할 수 있어야 하고, 쓰기 교수자들은 그러한 가능성을 학습자들이 경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는 관점에 기반을 두며, 이를 가능케 하는 대학 논증 수업의 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tried to design the class that integrates private language and public and social language through argumentation. The class was designed as a stage of "watching movies - value debate - value-interpretation writing" to help learners experience the moment when private language is transferred to public and social languages. Classes were conducted at University A and University B, and related data were collec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in a multiple-case study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transition process of private language to public language', the 'exploration process of universal responses to individual contexts', and the 'dialectic renewal process of personal thoughts'. This study is based on the view that writers should be able to link the uniqueness and abundance of private language into public and social languages, and that writing instructors should help learners experience such possibilities. Furthermore,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a college argumentation class that makes this possible.
저자 : 이정민 ( Lee Jung-min ) , 이원영 ( Lee Won-young )
발행기관 : 청람어문교육학회
간행물 :
청람어문교육
87권 0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87-226 (40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고는 『문학』 교과서의 현대시 제재 수록 양상에서 확인되는 현대시 텍스트의 정전화와 정전 탈락 현상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유형별 정전화와 정전 탈락의 이유를 분석함으로써 교과서 현대시 제재 선정에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본고는 『문학』교과서의 정전적 현대시 작가 20인의 시 텍스트가 『문학』교과서에 수록되는 양상을 통시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교과서 현대시 제재의 정전화 현상이 입체적임을 확인하고, 교과서 현대시 제재의 정전화 및 정전 탈락 현상을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본고는 통시적이고 실증적으로 교과서 수록 제재의 정전화 및 정전 탈락 현상을 확인하고 이를 유형화하여 교과서 정전 구성 및 제재 선정 작업을 위한 기초적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paper attempted to propos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in the selection process of modern poetry material by classifying the canonization and dropout of modern poetry phenomena and analyzing the reasons for canonization and dropout of canonization type identified by category in the pattern of modern poetry material in “Literature” textbooks.
For this study, this paper diachronically analyzed the pattern in which the poetry text of 20 canonical contemporary poetry writers in the “Literature” textbook is included in the “Literature” textbook.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canonization phenomenon of modern Poetry material was three-dimensional, and the canonization and dropout of canonization of modern Poetry material in textbooks were classified by category. This paper is diachronically and empirically, it can see the significance in that it identifies and categorizes the canonization and dropout of canonization of material in textbooks to lay the basic foundation for the canon composition and material selection work of textbooks.
저자 : 권대광 ( Kwon Dae-kwang ) , 유리 ( Yu Ri )
발행기관 : 청람어문교육학회
간행물 :
청람어문교육
87권 0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227-260 (34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고에서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고전문학 교수·학습의 실태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경력이 다른 16명의 현직 국어교사에게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그 중 5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수행하였다. 이후 현대문학교육과의 차이를 비교하여 고전문학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2차 설문을 진행하였다.
교사들에게 설문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수업 만족도와 효능감을 물었을 때 대부분의 교사는 긍정적으로 반응하였고, 교육과정 재구성의 자율성에 대한 인식이 있었다. 그러나 실제 고전문학 수업과 관련하여서는 관성적 태도를 보였다. 또 제재와 방법이 고착화되는 가운데, 교사의 고전문학 교수·학습 설계가 정형화되는 양상을 발견하였다.
문제의 대안을 위해 교육과정과 교수·학습의 느슨한 형태의 결합을 제안하였다. 또, 고전문학 교수·학습에 관계하는 여러 주체들의 협업을 통해 교육내용의 선정과 활용에 대한 역동성이 확보되어야 하며, 고전문학 작품의 역사적 실체성을 인정하는 가운데 전환과 변용을 허용하는 제재관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middle school classical teaching and learning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6 incumbent Korean language teachers with different experience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5 of them. After that, a second surve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difference between classic education and modern literature education.
When teachers were asked about their satisfaction and efficacy in the course of questioning, most teachers responded positively, and there was a perception of the autonomy of curriculum restructuring. However, they showed an inertial attitude in relation to actual classical studies classes. In addition, amid the fixation of sanctions and methods,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in classical literature was formalized.
For the problem, a loose combination of curriculum and teaching and learning was proposed.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selection and use of educational content should be sought through collaboration with various subjects related to teaching and learning of classical literature, and that a sanctions officer is needed to allow conversion and transformation while recognizing the historical substance of classical works.
저자 : 이경훈 ( Lee¸ Kyeong-hun )
발행기관 : 청람어문교육학회
간행물 :
청람어문교육
87권 0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263-285 (23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본 연구는 억양 시각화 훈련이 외국인(베트남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말하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베트남인 유학생 중 한국어 학습능력이 중급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사전검사를 통해 동질집단임을 확인한 다음 억양 시각화 훈련을 적용하고 이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사전 검사 결과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억양 실현 양상과 말하기 효능감은 차이가 없었다. 사전 검사 후 실험집단은 억양 시각화 훈련을 통해 억양 교육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반복청취를 통한 방법으로만 수업이 이루어졌다. 실험 결과 억양 시각화 훈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억양 그래프가 검증된 한국어 화자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말하기 효능감 또한 상승하였다. 한국어 말하기 효능감의 상승은 억양 표현능력의 상승을 가져올 것이며 한국어 말하기 능력의 향상을 이끌어 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실험을 통해서 억양 시각화 훈련을 통한 억양 수업이 억양에 민감한 베트남인 학습자의 효과적인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향후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서 억양 시각화 훈련이 전반적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intonation visualization training on the Korean speaking efficacy of foreign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whose Korean language learning ability is at an intermediate level. After confirming that the group was homogeneous through a pre-test, intonation visualization training was applied, followed by a post-test to analyze the results. As a result of the pre-te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tonation realization pattern and speaking efficacy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pre-test,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intonation education through intonation visualization training,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instruction only through repeated listening.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intonation graph of the experimental group subjected to the intonation visualization training appeared similar to that of the verified Korean speakers, and the speaking efficacy also increased. An increase in the efficacy of speaking Korean will lead to an increase in intonation expression ability and is expected to lead to improvement in Korean speaking ability. Through the experimen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onation class through the intonation visualization training was effective for effective Korean speaking education for Vietnamese learners who are sensitive to intonation. It is expected that intonation visualization training will be used overall in Korean speaking education in the future.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